만성 통증 문제에 집중하기 위해 기술 직장을 떠난 이유

4 hours ago 1

  • 필자는 4년에 걸친 만성 통증을 겪으며 삶의 여러 영역에서 변화와 어려움을 경험함
  • 이 경험을 바탕으로, 만성 통증이라는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현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극복법을 알리고자 결심함
  • 올해 기술 업계를 떠나 시드니의 집을 팔고, 만성 통증 관련 활동에 시간을 집중하기로 결정함
  • 블로그 시리즈를 통해 만성 통증의 정의, 원인, 회복 전략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임
  • 현대 통증 과학에 기반한 접근법을 바탕으로 더 많은 사람들의 회복에 기여하고자 함

만성 통증과의 첫 만남: 기술 직장에서 새로운 길로 나아간 계기

겨울에 이사를 마친 후, 갑자기 오른쪽 아킬레스건에 심한 통증이 생기기 시작함
이후 4년간 신체 여러 부위에 설명하기 힘든 지속적인 통증이 차례로 나타남
왼쪽 아킬레스건, 목소리, 오른쪽 어깨, 그리고 다시 양쪽 아킬레스건과 손/팔꿈치 등으로 확산됨
이로 인해 운동, 음악, 대인 관계, 일 등 삶의 중요한 활동들이 계속 제한되는 상황이 됨

이 기간 동안 자신에 대해 더 깊이 성찰하게 되었고, 이는 결국 회복 과정에 중요한 열쇠가 됨
필자에게 만성 통증은 단순히 고통이 아니라, 자기이해의 기회를 제공한 회색빛 전환점이었음

만성 통증 해결을 위한 새로운 시작과 목표

병이 거의 회복된 뒤, 필자는 이 어려운 문제에 창의력과 에너지를 쏟는 것을 목표로 삼음
호주 성인 5명 중 1명이 겪고 있을 정도로 만성 통증은 흔한 문제
만성 통증의 회복이 생각보다 더 가능하다는 사실에도 놀랐으며, 이를 더 널리 알리고자 결심함

올해 필자는 기술 직장을 퇴사하고 시드니의 집을 매각
이처럼 대담한 결정은 만성 통증 문제 해결을 위한 시간과 자원을 확보하기 위함임
블로그 연재를 통해 만성 통증에 대한 오해를 걷어내고, 관련 분야의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이 목표임

블로그에서 다룰 주제 및 구성

Sail Health 블로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룰 예정임

  • 만성 통증의 정의: 기존 통증 모델, 다양한 유형, 생물학·심리·사회적 요인, 주요 통계, 연구 등
  • 원인 탐구: 신경계 동작 원리, 통증의 경고 신호 역할, 뇌의 만성 변화(신경가소성) , 성격·트라우마 기여 요인 등
  • 회복 전략: 회복 접근법이 본인에게 적합한지 평가하는 자가진단법, 실제로 효과가 있었던 다양한 도구 및 연습법 제공

주요 구성을 무엇(정의), 왜(원인), 어떻게(회복) 로 정리해 나갈 예정임

읽어야 할 이유

독자 대상은 다음과 같음

  1. 이미 다양한 시도를 해봤으나 효과를 못 본 만성 통증 경험자
  2. 만성 통증이 없으나 전반적 웰빙과 두뇌-신체 상호작용에 관심 있는 사람

특히, 마음-신체 통합적 접근법을 제대로 시도해보지 않은 경우, 함께 학습하고 연습하길 권장함
이 접근법은 현대의 통증 과학 기반이며, 많은 사람들의 회복을 실질적으로 도왔음
2021년 미국 연구에 따르면, 해당 치료 시작 후 6개월 내 환자의 66%가 거의 통증 없이 회복함
이는 CBT나 외과적 시술보다 훨씬 높은 성공률과 지속력을 보임

필자 또한 한때 신체적 치료에만 집중했으나, 마음의 작용이 신체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인정한 뒤 실질적 변화를 경험함

너에게도 의미 있는 이유

만성 통증이 없더라도, 자기 건강이나 뇌-심신 작용에 관심 있다면 이 정보를 통해 다양한 도움을 얻을 수 있음
특히 risk factor로 알려진 완벽주의, 타인 배려 성향, 불안, 스트레스 많은 환경 등이 있다면 더 유익함

주의사항 및 마무리

필자는 의사가 아니므로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 대체로 이 정보를 사용하지 않길 강조함
블로그 시리즈의 다음 주제는 ‘만성 통증이란 무엇인가’에 초점을 둘 예정임
함께 두뇌와 마음의 연결을 쉽고 즐겁게 이해해나가는 시간이 되길 바람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