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함께 자사 인터넷TV(IPTV) 플랫폼 지니TV에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접목한다. 미디어 콘텐츠용 인공지능 전환(AX) 전문 조직 ‘AI 스튜디오 랩’을 신설해 미디어 부문 AX에도 나선다.
KT는 16일 그룹 미디어토크를 열고 ‘KT 미디어 뉴웨이’ 전략을 공개했다. KT가 진행하는 미디어 콘텐츠 사업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하고 플랫폼 내 고객경험(CX)을 혁신하기 위한 전략이다.
KT는 지니TV에 미디어 특화 AI 에이전트를 상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접목하기로 했다.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은 “GPT-4를 기반으로 한 한국적 AI 모델을 적용할 예정”이라며 “기존에 사용하던 음성 기반 서비스를 넘어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플랫폼 내부에 장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KT는 이 AI 에이전트를 KT스카이라이프, HCN 등 그룹사로 확대해 고객 1400만 명에게 적용할 계획이다.
KT는 홈쇼핑 방송에 특화한 AI 서비스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홈쇼핑업계 관련자들이 매출과 성과 등을 예측하고 시청자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X 사업이다. 콘텐츠 제작 및 유통 과정 전반에도 AI 기술을 도입한다. 미디어 콘텐츠 AX 전문 조직인 AI 스튜디오 랩을 신설해 투자 심사, 기획, 콘텐츠 제작·편집, 마케팅·유통 등 콘텐츠 사업 전 과정에 AI 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지식재산(IP) 사업도 키우기로 했다. 스튜디오지니 내부에 ‘넥스트 IP 스튜디오’를 신설하고 숏폼 중심의 IP 사업을 전개한다. 자사 오리지널 콘텐츠 IP로 숏폼을 제작하고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플랫폼 ‘패스트’에 송출하는 방식이다. KT는 그룹 차원에서 내년까지 스튜디오지니에 5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김 부문장은 “과거 KT는 망 보유가 장점이었다면 이제는 그 장점을 떠나 미디어 본질 자체로 경쟁해야 할 시기”라며 “지금이 성공 여부가 결정 날 골든타임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