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국 최초 AI 등록제 시행…공공기관 AI 사업 정보 투명 공개

5 hours ago 2
경기도청 전경.경기도청 전경.

경기도는 전국 최초로 공공기관이 추진하는 인공지능(AI) 사업 내용을 도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는 '경기도 AI 등록제'를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AI 등록제는 AI 기술의 불투명성과 신뢰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윤리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경기도와 시·군, 산하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AI 기반 사업이 모두 공개 대상이며 △AI 서비스명과 운영 기관 △도입 배경 및 목적 △주요 기능과 기술 유형 △사용 데이터 및 출처 △AI 알고리즘 및 작동 원리 △성과와 윤리적 고려사항 △개인정보 처리 여부 등 핵심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한다.

공개된 정보는 오는 7일부터 도 누리집 내 '소통·참여→경기도민 공유→경기도 AI 등록제' 메뉴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경기도는 AI 등록제 시행에 앞서 지난 5월 도와 시·군, 산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AI 사업 운영 현황을 전수 조사하고, 6월에는 누리집 내 전용 사이트를 구축해 시범 운영을 마쳤다.

또 전국 최초로 AI 전담 부서인 AI국을 신설하고 '경기도 인공지능 안전과 신뢰 기반 조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는 등 안전한 AI 활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꾸준히 확대해왔다.

지난해 8월에는 세계 주요 지방정부 협의체인 'DETA(Disruptive and Emerging Technologies Alliance, 초혁신기술동맹)'와 함께 '신뢰할 수 있는 AI 발전을 위한 선언문'을 공동 발표했다. DETA에는 대한민국 경기도를 비롯해 캐나다 퀘벡, 미국 매사추세츠, 영국 스코틀랜드 등 세계 18개 지방정부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 선언문은 도 누리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김기병 도 AI국장은 “AI가 행정의 중요한 수단으로 확대되고 있는 만큼, 공공이 사용하는 AI에 대한 도민의 이해와 신뢰를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AI 등록제를 통해 AI 사업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고, 윤리적 AI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