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가 Hail Mary식 추력기 수리로 고대 우주선 Voyager 1을 살림

20 hours ago 1

  • Voyager 1주요 롤 추력기를 20년 만에 성공적으로 재가동함
  • 보조 추력기의 고장 위험이 커진 상황에서, NASA JPL 엔지니어 팀이 기적적으로 해결책을 찾아냄
  • 명령 전송 기회가 극히 제한적인 상황에서, 위험을 감수한 시도로 우주선의 제어권을 다시 확보함
  • Voyager 1은 거대한 거리의 한계와 전력 저하, 시스템 고장 속에서도 계속 운영 중임
  • 언젠가 임무 종료 순간이 오겠지만, 이번에도 Voyager 1은 인간이 만든 가장 먼 탐사선으로 존속을 이어감

NASA의 Voyager 1 추력기 재가동 성공 이야기

NASA는 거의 50년 된 Voyager 1 우주선에서 20년 넘게 고장 상태였던 주요 롤 추력기를 최근에 다시 가동하는 데 성공함

이 작업은 JPL의 기술 진두지휘 아래 성사되었으며, 보조 추력기의 연료 라인 막힘 위험이 심각해진 시점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음

Voyager 1만의 오랜 여정과 난제

  • Voyager 1은 1977년에 발사된 이후 미션 계획을 훨씬 넘긴 47년 넘는 활동을 이어감
  • 현재 이 우주선은 지구에서 250억 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곳을 비행하고 있어, 지상과의 신호 교환에 약 23시간 이상이 소요됨
  • 주요 롤 추력기는 2004년 내부 히터 전원 손실로 작동이 멈췄으며, 그 이후 줄곧 보조 추력기만 사용함
  • 보조 추력기 역시 연료 찌꺼기 축적 문제로 실패 위험이 커져, 올해 가을 이전 고장 가능성이 제기되었음
  • 실패 시 우주선의 자세 제어 가능성을 상실하여, 지상과의 통신도 끊길 위험이 있었음

시도하지 않으면 확실히 끝, 시도하면 살 수도 있음

  • DSS-43 안테나의 보수 작업 때문에 올해 명령 전송 가능한 기회가 8월, 12월 등 극히 제한됨
  • Voyager 팀은 마지막 수단으로, 2004년 이후 죽은 것으로 간주했던 주요 롤 추력기 재생을 시도함
  • 추력기 히터가 실제로 망가진 게 아니라, 회로 장애로 단순히 스위치만 꺼졌을 가능성을 검토함
  • 히터 전원을 복원하고, 우주선이 가이드 스타에서 충분히 멀어지면 자동으로 추력기가 작동하도록 유도함
  • 히터가 꺼진 상태에서 추력기가 작동하면 소규모 폭발 위험도 있었으나, 약 23시간의 신호 왕복 딜레이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히터가 재가동되어 성공 수리임이 확인됨

또 하나의 기적 같은 생존

  • JPL 팀은 “이 추력기는 확실히 죽은 줄 알았다”라고 전할 만큼, 이번 시도는 창의적인 엔지니어링직감의 결합이 결정적이었음
  • Voyager 임무는 최근에도 데이터 이상·과학장비 전력 저하·여러 포기 상황을 겪었으나, 담당자들의 신속한 조치로 회복을 반복함
  • 이번에도 추력기 관련 심각한 문제를 기적적으로 해결, Voyager 1은 성간 공간에서 계속 신호를 보내는 기록을 이어가게 됨

Voyager 임무의 마무리와 의미

  • 두 Voyager 호 모두, 언젠가 전력 고갈 및 시스템 한계로 인해 완전히 침묵할 예정임
  • 그러나 이번 수리로 인해 인류가 태양계를 벗어나 우주를 바라보는 창구가 더 오래 유지될 전망임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