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더빙한 K콘텐츠, 삼성·LG TV 타고 20개국 간다

19 hours ago 1

과기정통부, K-FAST 채널 20개 선정…4분기 글로벌 송출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정부가 해외의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TV(FAST)에 현지어로 더빙된 국내 콘텐츠를 송출할 20개 'K-채널'을 최종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4천4백여편의 콘텐츠가 4분기부터 삼성전자[005930], LG전자[066570] 등 국산 스마트TV에 탑재된 K-FAST 채널을 통해 북미, 유럽, 중남미, 아시아 등 20여개국에 송출된다.

FAST는 2027년 글로벌 시장 규모 120억 달러(약 17조원), 이용자 수 11억명으로 전망되는 유망 콘텐츠 유통 채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인공지능(AI) 더빙 특화 K-FAST 지원 사업'을 통해 AI 기술로 한국어를 현지어로 바꿔 목소리를 입히고 배경 음악을 현지 음원으로 바꾸는 등 현지화 작업에 나서고 있다.

AI 더빙 기술을 쓰는 K-채널을 장르별로 보면 드라마 7개, 예능 5개, 영화 3개, K팝 1개, 게임, 여행, 시사교양 등 기타 분야 4개로 구성됐다.

더빙 언어별로는 영어 12개, 스페인어 7개, 포르투갈어 1개다.

K-FAST 사업에 참여 중인 콘텐츠 현지화 기업 비브리지는 두바이 소재 암호화폐 전문 유튜브 채널 중 한국 채널을 AI로 더빙한 결과 기존 영상 조회수 대비 400배 이상 증가했다.

AI 기술을 활용해 더빙뿐 아니라 화질 개선, 음원 교체 등 콘텐츠를 현지화하는 작업이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콘텐츠 데이터 1천400여시간분을 확보, 향후 생성형 AI 산업에 활용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다음 달 '국제 FAST 콘퍼런스' 및 'K-FAST 광고 비즈니스 밋업'을, 4분기 안으로 '글로벌 K-FAST 쇼케이스'를 열어 K-FAST 사업을 알릴 계획이다.

강도성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은 "AI 현지화 기술을 결합해 K-채널이 세계 시장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 운영방안은?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 운영방안은?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 출범식에서 운영방안을 소개하고 있다. 2025.4.23 hwayoung7@yna.co.kr

cs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7월30일 12시00분 송고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