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번째 AI 정책 세미나가 오는 23일 한국방송통신대 열린관 콘퍼런스룸에서 열린다. '신정부의 AI 정책 방향과 대응전략 세미나'는 정부가 내세운 100조원 규모의 AI 투자 시대를 맞아, 기업과 개인이 어떻게 전략을 수립해야 할지 논의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 한국생성형AI연구원, 인공지능연구원이 주관하는 이번 세미나는 단순한 정책 설명회를 넘어, 정부의 AI 국가 전략을 민간·교육·산업 현장으로 연결하는 실질적인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정권이 추진 중인 '세계 3대 AI 강국 실현'이라는 국가 비전 속에서, 각 주체가 어떻게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정부는 최근 '대한민국 AI 국가전략 3.0'을 통해 △AI 100조원 투자 △AI의 산업·공공·국민 생활 전반 확산 △지역 균형과 포용을 위한 AI 뉴딜을 핵심 정책으로 제시했다. 이는 정부 주도의 산업 육성 정책을 넘어, 모든 국민과 기업이 참여하는 전방위 전략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이러한 AI 국가 전략을 구체적으로 해석하고, 비즈니스와 교육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전략까지 총망라한 세 가지 발제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발제는 유정수 전주교육대 교수가 'AI 시대의 도래와 미래 전망'을 주제로 발표한다. 유 교수는 생성형 AI 기술이 가져올 일상 및 산업 구조의 변화를 분석하며, 기술이 삶을 어떻게 바꾸는지를 중심으로 설명할 예정이다.
두 번째 발제는 노규성 한국생성형AI연구원장이 맡는다. 노 원장은 신정부의 AI 정책 방향을 조망하고, 각 정책이 비즈니스, 노동,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짚는다. 특히 그는 “100조원 시대에 필요한 것은 기술이 아닌 전략”이라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마지막 발제는 임춘성 인공지능연구원 부사장이 진행한다. 임 부사장은 정부의 AI 정책 기조를 분석하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1인 창업자, 교육 종사자 등 각계 주체들이 실행 가능한 전략을 어떻게 수립해야 할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주최 측 관계자는 “AI 기술 발전 속도가 워낙 빠른 만큼, 기술 격차가 아닌 전략 격차가 향후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이번 세미나는 정부 정책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AI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세미나 참가 신청은 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조하면 된다.
김현민 기자 min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