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하는 AI가 온다..."여러 AI가 협업해 복잡한 일 처리할 것"

1 hour ago 1

“에이전틱 인공지능(AI)이 'AI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어줄 것입니다.”

이태희 삼성SDS AI 연구소 총괄 상무는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월드IT쇼’의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전망 콘퍼런스' 기조연설자로 나서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에이전틱 AI란 사용자의 명령이나 목적에 따라 스스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AI 시스템을 의미한다. AI 에이전트도 이와 비슷한 개념이다.

행동하는 AI가 온다..."여러 AI가 협업해 복잡한 일 처리할 것"

이번 콘퍼런스는 ‘AX 시대: AI 일상화의 본격화’를 주제로 진행됐다. 다양한 기업의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서 각 사의 AI 전략과 기술 비전을 공유했다.

이 상무는 "생성형 AI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결과물을 만들지만, 에이전틱 AI는 목표 달성을 위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고 차이점을 설명했다. 여러 에이전틱 AI가 협업해 최적의 해결방안을 찾는 것도 가능해진다.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AI가 작업 전 과정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상무는 “앞으로는 다양한 업무에 개별 에이전틱 AI가 탑재되고, 이들이 서로 연동되며 복잡한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멀티 에이전트 협업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두 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선 신용식 SK텔레콤 부사장은 AI 에이전트를 넘어 'AI 워커(AI Worker)'라는 개념을 내놓았다. AI가 단순 업무를 맡고 사람이 복잡한 업무를 담당하는 게 AI 에이전트라면 AI 워커는 AI가 복잡한 업무까지 처리하고 사람은 결과물을 관리, 검토하는 식이다.

그는 4가지 종류의 B2B(기업 간 거래) AI 워커를 소개했다. 사무 업무 생산성을 증대할 AI 비서와 고객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상담 AI, 금융 시장 등을 예측하는 AI 애널리스트, 제조 산업에 특화된 명장 AI다. 신 부사장은 “사람을 단순히 보조하는 수준의 AI 어시스턴트는 사실 기업 고객의 비용 절감 기대를 맞추기 어렵다"며 "결국 산업별 현장에 특화한 AI 기술을 개발해 본원적인 경쟁력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했다.

최영총 기자 youngchoi@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