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명 구아현 기자
- 입력 2025.09.25 15:49
포용을 위한 AI 국회 심포지엄서 기조연설
“AI, 특수교육의 새로운 열쇠”

“인공지능(AI) 보급 그 자체보다 교사가 이를 안전하고 책임 있게 교육과정과 개별화 계획에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차우규 한국교원대 총장은 25일 국회의원회관 1소회의실에서 열린 ‘포용을 위한 인공지능: 특수교육의 미래를 다시 설계하다’ 정책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교사의 역량이 강화돼야만 기술이 실제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며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현장 맞춤형 도구를 위한 민관 협업 활성화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차 총장에 따르면 특수교육은 과거 장애인을 보호나 수용의 대상으로 보던 시기에서 출발했지만 1970~1980년대 이후 인권과 평등 의식 확산과 함께 통합교육, 평등한 학습권 보장이 강조되며 제도적 기반을 갖췄다. 2007년 특수교육법 제정으로 의무교육과 개별화 교육계획 제도가 도입되고 보조공학기기 지원과 교원 연수도 확대됐다.
하지만 그는 “아직 농어촌·취약지역의 특수교육 접근성 부족, 특수학교 입학 정원 부족, 지역 간 지원 격차 등 현장의 어려움은 여전히 크다”며 “AI는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고 맞춤형 교육을 대규모로 지원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AI 기반 카메라 앱, 청각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자막·수어 번역 시스템,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돕는 AI 로봇 등 기술들은 개발돼 있다.
차 총장은 AI 도구가 특수교육 현장에 제대로 사용하려면 관련 인프라와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수교육 혁신을 위한 과제로 △교원의 AI 활용 역량 강화 △학교 인프라와 보조공학기기 지원 확대 △민관 협력 기반의 현장 맞춤형 기술 개발 △AI 활용 법적 근거와 윤리·데이터 보호 지침 마련 등을 제시했다.
세부 지원 방안에는 △AI 기반 보조공학 기기 지원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 △학교 현장에서의 AI 활용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 수립 △윤리적인 AI 활용과 데이터 보호를 위한 가이드 라인 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한국교원대는 부설 체육특수학교를 설립해 수영, 육상, 유도, 태권도, 탁구, 배드민턴, 휠체어 테니스 등 7개 종목의 선수를 육성하고 있기도 하다. 중학교 54명 고등학교 84명 총 138명을 교육하고 있다.
그는 “AI 기반 데이터 분석과 가상현실 훈련 등은 장애 학생의 잠재력을 확장하는 도구가 될 것”이라면서 “대한민국이 포용적 AI 교육의 글로벌 모범이 될 수 있도록 모두가 협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AI는 특수교육의 형평성과 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열쇠”라며 “이를 제대로 구현하려면 학교 현장에 필요한 인프라와 지원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특수교육 AI 심포지엄은 강경숙 조국혁신당 국회의원과 THE AI, 서울교대 AI가치판단 디자인 연구센터, 국회의원 연구단체 ‘약자의 눈’이 주최하고 미니게이트, 블루바이저시스템즈가 후원한다.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