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T 대표의 확고한 AI 철학⋯"자강·협력 이어가겠다"

2 hours ago 1

글로벌-국내 AI 환경 변화⋯유영상, SKT AI 일부 전략은 '변화 예고'

[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12일 "SK텔레콤의 AI(인공지능) 전략에도 변화를 주고자 한다. 그렇지만 저희가 생각하던 자강과 협력, 즉 우리의 기술력을 갖고 가는 자강과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서 AI 사업을 추진한다는 데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12일 웨스턴 조선 서울 호텔에서 열린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에 참여한 뒤 취재진과 만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안세준 기자]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12일 웨스턴 조선 서울 호텔에서 열린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에 참여한 뒤 취재진과 만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안세준 기자]

유 대표는 이날 웨스턴 조선 서울 호텔에서 열린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에 참여한 뒤 취재진과 만나 "AI의 글로벌 환경도, 국내 환경도 많이 바뀌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 대표는 그동안 자강과 협력을 통한 AI 기술 경쟁력 강화 전략을 강조해 왔다.

유 대표는 향후 AI 투자 성과를 어떻게 창출할 것인지 묻는 질의에 인프라 사업, AIX(AI 전환) 사업, 에이닷 등 서비스 사업 등을 거론했다. 그는 "인프라 사업은 굉장히 빨리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포함해서 AIDC는 빠른 시간 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AIX 사업에 대해서는 "SK그룹의 여러 제조사들과 제조 AI를 통한 국내 산업 혁신까지 가야하는데 아직 시간이 좀 걸리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서비스 사업에 대해서도 "에이닷의 경우 사용자가 1000만 명 정도를 기록하고 있으나, BM(비즈니스 모델)이 부족한 상태"라고 했다.

SK텔레콤은 최근 정부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임차 지원 사업을 수주한 데 이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서도 정예 5팀에 선정됐다. 이에 대해 유 대표는 "저희는 챗GPT가 나오기 전부터 AI 컴퍼니를 하겠다며 준비해 왔다"며 "독자적으로 모델을 만들었던 경험과 기술력이 좋은 역할을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답했다.

투자 성과에 대해서는 "글로벌 투자를 많이 했다. 엔트로픽이나 퍼플렉시티 등은 물론 국내 AI 기업에도 투자를 했다"며 "그 성과들은 좋은 편이다. 예를 들어 엔트로픽 같은 경우 최근 2년 사이 100배 가까이 성장했다. 투자 성과는 조만간 가시화될 것"이라고 했다.

/안세준 기자(nocount-jun@inews24.com)








포토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