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148만원인데…" 삼성 '갤Z플립7' 사러 갔다가 '깜짝' [현장+]

19 hours ago 3

갤럭시 Z7이 정식발매된 25일 서울 구로구 신도림 핸드폰 집단상가에서 사람들이 제품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박수빈 기자

갤럭시 Z7이 정식발매된 25일 서울 구로구 신도림 핸드폰 집단상가에서 사람들이 제품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박수빈 기자

"10만원대에 갤럭시Z플립7 가져가세요. 원래 초창기에 이만큼 안 나와요."

삼성전자의 갤럭시Z폴드·플립7이 공식 출시된 25일 오후 서울 구로구 신도림 휴대폰 집단상가 판매점 직원 A씨는 "번호이동 공시지원금 50만원에 추가보조금 80만원을 드리겠다"며 "지금 정책이 가장 좋다. 주말에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점점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출고가가 148만5000원인 갤럭시Z플립7 256GB을 18만5000원에 구매할 수 있는 가격이었다.

업계에선 이날 이동통신사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간 보조금 전쟁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Z폴드·플립7와 같은 신제품 출시는 프리미엄 핸드폰을 원하는 고객을 유치할 좋은 기회다. 점유율 40%가 깨진 SK텔레콤이 고객 유치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공격적인 보조금을 풀면 이에 대응해 KT와 LG유플러스가 보조금 맞불을 놓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하지만 당장 Z플립7을 손쉽게 공짜폰으로 구할 수 있을 만큼 피 터지는 보조금 '전쟁'이 일어나진 않았다. 다만, 현장에서는 "이 정도면 많은 편"이라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판매점 직원 B씨는 "신제품에 보조금이 이 정도 붙는 건 흔치 않다"며 "어떻게 바로 10만원대에 갤럭시 신상을 살 수 있나"라고 말했다.

단통법이 폐지된 첫날인 지난 22일에도 Z폴드·플립7 시리즈 공짜폰을 구하긴 어려웠다. 당시 판매점에서 보조금은 20만원이 정도 나왔다. 그 당시와 이날의 보조금 수준을 비교하면 4배 늘어난 셈이다.

신도림 집단상가를 기준으로는 LG유플러스로 번호이동하는 조건일 때 가장 많은 보조금이 지급됐다. Z플립7 256GB 모델의 경우 보조금은 60만~85만원대에 달했다. 요금제는 9만5000원짜리를 선택하고 3만원대 부가서비스 3개월간 사용하는 조건이었다. SK텔레콤은 이보다 10만원 적은 70만원까지 보조금을 제공했다. 요금제는 10만9000원을 들어야 하고 부가서비스 가입 조건은 따로 없었다. KT가 지급하는 보조금은 60만원대로 가장 적었다.

판매점 직원 C씨는 "보조금 20만원만 풀려도 SK텔레콤을 오래 쓰신 분들은 그대로 사시더라"라며 "SK텔레콤은 결합할인 조건도 인터넷이 꼭 들어가야 해서 충성 고객층이 탄탄히 많은 편이다. 그래서 보조금이 생각보다 많이 안 나오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의 보조금이 더 높게 지급되는 판매점도 없지 않았다. Z플립7 512GB 기준 보조금을 95만원 지원했다. 총 19만3400원에 살 수 있는 가격이었다. B씨는 "SK텔레콤이 유심 해킹 사고 이후 점유율이 (40%대) 깨질 만큼 고객을 많이 잃어서 보조금을 많이 풀었다"고 설명했다.

보조금이 늘어날 경우 번호이동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이통사 고객 3명 중 1명은 보조금이 늘면 이통사를 바꿀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보조금이 줄었을 때 번호이동은 적게 나타났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이 폐지된 첫날 번호이동이 3만5131건 일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보조금 정책이 줄어든 다음 날에는 번호이동 수가 1만건대로 줄어 진정세를 보였다. 단통법이 폐지된 지난 22일 판매점 직원 D씨는 "이날까지 갤럭시Z7 사전예약 여파로 보조금 정책이 좋다. 내일 되면 보조금이 바로 줄어든다"고 말하기도 했다.

업계 안팎에선 이통사 간 마케팅 경쟁이 과열된다 해도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마케팅 비용이 탄력적이지 않은 데다 통신사 입장에선 지원금보다 선약할인이 더 크기 때문이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원금이 상승해 선약할인 가입자 비중이 들면 이통사 입장에서는 반사이익이 가능하다"며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마케팅 경쟁이 예상만큼 과열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힘을 얻는다. 김 연구원은 "이통3사간 가입자 점유율이 굳어져 있고 유무선 결합이 보편화되어 있어 더 이상 무선에만 집중하는 사업구조가 아니다"라며 "통신사들이 무리하게 지원금을 상향하며 고객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11년 전과 같은 통신시장 과열 양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며 "마케팅 비용만 늘고 매출 증대는 어려워 타사 가입자를 빼앗아 봐야 실익이 없다"고 설명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