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표절 의혹은 '학계 이해 부족 탓'이라는 이진숙 후보자

12 hours ago 2

입력2025.07.16 17:09 수정2025.07.16 17:09 지면A31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가 어제 열렸다. 청문회 전부터 제자 논문 표절, 자녀의 위법적인 조기 유학 의혹으로 논란이 컸던 이 후보자다. 이미 11개 교수·학술단체 연합체인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논문을 전수 검증한 뒤 표절 문제가 심각하다며 “교육계 양심 회복을 위해 자진 사퇴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친여 성향인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참여연대도 “공교육을 책임지기엔 자격이 부족하다” “중대한 결격 사유가 있다”며 지명 철회를 요구했다.

청문회에서 적극 소명하겠다던 이 후보자는 이날 “지금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들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데서 나온 결론”이라며 표절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강변했다. 충남대 총장에 임용되기 전 대학 측이 외부 전문가와 함께 약 100편의 논문을 검증해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으로 판정받았다는 것이다. 표절 여부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인 카피킬러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고도 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에 대해서도 ‘이공계 관행’임을 내세워 의혹을 부인했다. 지도교수와 대학원생 간 기여도를 고려해 제1 저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연구재단의 지침을 따랐을 뿐이라는 것이다. 사실상 그간의 여러 의혹에 대한 전면 부정이다. 교수·학술단체가 그런 제반 상황도 안 따져보고 검증 결과를 내놓았다는 얘기인데 이해하기 어려운 주장이다.

자녀의 조기 유학에 대해서는 “불법인지조차 몰랐다”고 사과했다. 법 위반 자체도 문제지만 이 후보자가 공교육을 책임질 자격이 과연 있는지 의문이다. 국민의힘 의원 지적처럼 두 자녀의 미국 사립고교·대학교의 학비에만 총 10억~15억원을 썼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그렇게 공교육을 회피한 사람이 보통 학부모의 심정을 헤아리고 교육 정상화에 제대로 힘을 쏟을지 걱정스럽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이날도 “여성으로서 국립대 총장까지 하고 두 자녀를 키우며 여기까지 온 것은 대단하다”는 등 엄호에 바빴다. 장관 후보자들의 각종 의혹이 쏟아져 나와도 갈 길 가겠다는 여권에 대한 국민의 실망도 차곡차곡 쌓여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