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13일 “탄핵의 바다를 건너지 못하고 있는데도 사과와 반성이 필요 없다고 말하는 분들이 인적 쇄신 0순위”라며 “이런 분들은 당을 떠나야 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전횡에 대한 사과와 절연을 당헌·당규에 담겠다는 윤 위원장의 1호 혁신안에 대해 친윤계 의원들이 “언제까지 사과만 하느냐”고 반발한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윤 위원장은 구체적인 인적 쇄신 대상이자 사과 대상으로 8가지 사건을 지목했다. 대선 패배, 대선 후보 교체 시도, 대선 후보의 단일화 입장 번복, 탄핵 국면에서 한남동 관저 앞 시위 등이다. 이 중 한동훈 전 대표 가족의 당원 게시판 논란을 제외하면 모두 ‘탄핵의 바다’ 건너기를 거부하는 친윤계 인사들이 연루된 사건들이다. 윤 전 대통령 재임 시기 친윤계가 저지른 온갖 해당 행위들이 국정 실패와 비상계엄을 막지 못했고, 탄핵과 대선 패배 이후로도 당 재건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 당 쇄신의 첫걸음이라는 건 상식적인 판단일 것이다.
하지만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어떤 사람을 내치는 것이 혁신의 최종 목표가 아니다”라며 인적 쇄신 요구에 제동을 걸었고,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도 “3년 후 총선이 있는 만큼 거기로 넘겨놓는 건 어떻겠나”라며 반대 의사를 표했다. “사과의 늪에서 벗어나야 한다”(나경원 의원) “내부 총질 습성부터 고쳐야 한다”(장동혁 의원)는 주장까지 나왔다. 친윤 인사들이 혁신위에 저항하고 나선 것이다. 이러니 윤 혁신위원장 등의 계엄과 탄핵 사태에 대한 뒤늦은 사과마저 진정성을 의심받고 ‘내란 정당’이란 꼬리표를 떼지 못하는 것 아닌가.
지난 대선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40% 넘는 득표율을 기록한 건 제발 정신 차리고 여당의 독주를 견제하라는 민심 덕분에 가능했다. 그런데 마치 계엄 사태에 대해 면죄부라도 받은 양 혁신하는 시늉만 할 뿐 제대로 된 반성도 사과도 없고, 책임지는 사람 하나 없이 어물쩍 넘어가려 한다. 계엄 사태로 피해 입은 국민은 나 몰라라 한 채 밥그릇 지키기에만 열을 올리는 당에 민심은 실망을 넘어 분노를 느끼고 있다. 보수 텃밭 대구·경북 민심도 “국민의힘은 더 망해 봐야 정신을 차릴 것”이라며 돌아서는 중이다.-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