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는 지난해부터 한국인을 표적으로 한 국제 범죄의 새로운 온상이 되고 있다.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 신고 건수는 2022, 2023년 한 해 10∼20건 수준이었지만, 작년 220건으로 급증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선 8월까지 330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2년 전에 비해 수십 배 늘어난 것이다. 이들 한국인 중 상당수는 고수익을 미끼로 내건 해외 취업 사기에 속아 납치된 피해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다 한국인 관광객과 사업가를 대상으로 한 납치와 청부살인이 만연했던 ‘제2의 필리핀’이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캄보디아에선 중국 태국 베트남 등 범죄 조직이 활개를 치고 있다. 캄보디아 사회 전반에 부패가 만연하고 경찰 등 공무원마저 뇌물에 취약해 범죄자들의 피난처, 나아가 국제 범죄의 신흥 중심지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 5월엔 이른바 ‘범죄단지’로 불리는 사기 콜센터에서 한국인 15명이 무더기로 붙잡혔는데, 현지 경찰과 이민당국의 부패 탓에 이들 한국인이 국내로 송환되지 못한 채 다른 범죄 조직에 팔려 가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우리 정부는 주캄보디아 대사관에 경찰 인력을 추가 파견한 것 외에 마땅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우리 교민 1만여 명이 거주하고 한국인 관광객 약 20만 명이 방문하는 나라다. 국민 안전을 지켜야 하는 국가적 책무를 두고 현지 당국의 비협조 탓만 할 수는 없다. 캄보디아에도 필리핀에서처럼 ‘코리안 데스크’(한인 범죄 전담 경찰)를 설치해 한국인 납치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현지 경찰과 즉각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실질적인 공조 체계를 서둘러 구축할 필요가 있다.-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4 weeks ago
10
![[부음] 유규상(서울신문 기자)씨 외조모상](https://img.etnews.com/2017/img/facebookblank.png)
![[5분 칼럼] ‘진보 정권의 아이러니’ 재현하지 않으려면](https://www.chosun.com/resizer/v2/XUGS65ZOHFNDDMXKOIH53KEDRI.jpg?auth=f32d2a1822d3b28e1dddabd9e76c224cdbcdc53afec9370a7cf3d9eed0beb417&smart=true&width=1755&height=2426)
![[新 광수생각]진짜 불로소득을 묻다](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