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올해 서울 싱크홀 벌써 작년 2배 넘어… 30%는 원인도 모른다

1 month ago 5
올해 8월까지 서울 시내 싱크홀(땅 꺼짐) 사고가 37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간 발생 건수(17건)의 2배를 이미 넘어선 것이다. 서울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싱크홀의 약 40%는 주민이 많고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 송파, 성북구에서 발생해 인명사고 우려도 커지고 있다.

도심 싱크홀은 대개 공사를 하면서 지반 보강을 제대로 안 하거나, 노후 상하수도관 때문에 물이 누수되면서 토사가 유실돼 발생한다. 이 중 인명 피해를 야기하는 대형 싱크홀 사고는 부실하게 진행된 지하 공사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 올 3월 강동구 명일동에서 차선 4개가 내려앉아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졌다. 전문가들은 지하철 9호선, 세종∼포천 고속도로 등 인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 공사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울 시내 싱크홀 사고는 늘었지만 10건 중 3건은 원인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면적 4㎡ 이상이거나 깊이 2m 이상인 싱크홀이 발생하면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가동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중앙조사위를 가동한 비율은 0.5%에 불과하다. 지난해 70대 여성이 사망한 연희동 사고 때 싱크홀이 가로 6m, 세로 4m, 깊이 2.5m였지만 중앙조사위는 열리지 않았다. 결국 서울시가 자체 조사를 마친 후 “복합적 원인이 작용했다”고 어정쩡하게 마무리했다.

원인 파악이 안 되니 제대로 된 대책이 나올 리 만무하다. 서울시는 싱크홀 예방 대책 중 하나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결과를 공개 중이다. 하지만 GPR은 지하 2m 이내 상하수도관 누수만 탐지할 뿐 그보다 깊은 곳에서 나타나는 대형 싱크홀 위험 징후는 파악할 수 없다고 한다. 서울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역별 싱크홀 위험도를 5등급으로 분류한 지도를 제작했으나 “불필요한 오해와 불안을 부를 수 있다”며 비공개하고 있다.

지하 공간 활용이 늘고 인프라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싱크홀 사고는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정부와 서울시는 당장 싱크홀 지도를 공개하고, 위험 지역에서 진행되는 지하 공사에 대한 감독과 감리를 강화해야 한다.

사설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MoTech열전

    MoTech열전

  • 고양이 눈

    고양이 눈

  • 사진기자의 사談진談

    사진기자의 사談진談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