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까지 서울 시내 싱크홀(땅 꺼짐) 사고가 37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간 발생 건수(17건)의 2배를 이미 넘어선 것이다. 서울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싱크홀의 약 40%는 주민이 많고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 송파, 성북구에서 발생해 인명사고 우려도 커지고 있다.
도심 싱크홀은 대개 공사를 하면서 지반 보강을 제대로 안 하거나, 노후 상하수도관 때문에 물이 누수되면서 토사가 유실돼 발생한다. 이 중 인명 피해를 야기하는 대형 싱크홀 사고는 부실하게 진행된 지하 공사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 올 3월 강동구 명일동에서 차선 4개가 내려앉아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졌다. 전문가들은 지하철 9호선, 세종∼포천 고속도로 등 인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 공사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울 시내 싱크홀 사고는 늘었지만 10건 중 3건은 원인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면적 4㎡ 이상이거나 깊이 2m 이상인 싱크홀이 발생하면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가동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중앙조사위를 가동한 비율은 0.5%에 불과하다. 지난해 70대 여성이 사망한 연희동 사고 때 싱크홀이 가로 6m, 세로 4m, 깊이 2.5m였지만 중앙조사위는 열리지 않았다. 결국 서울시가 자체 조사를 마친 후 “복합적 원인이 작용했다”고 어정쩡하게 마무리했다.
원인 파악이 안 되니 제대로 된 대책이 나올 리 만무하다. 서울시는 싱크홀 예방 대책 중 하나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결과를 공개 중이다. 하지만 GPR은 지하 2m 이내 상하수도관 누수만 탐지할 뿐 그보다 깊은 곳에서 나타나는 대형 싱크홀 위험 징후는 파악할 수 없다고 한다. 서울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역별 싱크홀 위험도를 5등급으로 분류한 지도를 제작했으나 “불필요한 오해와 불안을 부를 수 있다”며 비공개하고 있다.지하 공간 활용이 늘고 인프라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싱크홀 사고는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정부와 서울시는 당장 싱크홀 지도를 공개하고, 위험 지역에서 진행되는 지하 공사에 대한 감독과 감리를 강화해야 한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1 month ago
5
![[부음] 유규상(서울신문 기자)씨 외조모상](https://img.etnews.com/2017/img/facebookblank.png)
![[5분 칼럼] ‘진보 정권의 아이러니’ 재현하지 않으려면](https://www.chosun.com/resizer/v2/XUGS65ZOHFNDDMXKOIH53KEDRI.jpg?auth=f32d2a1822d3b28e1dddabd9e76c224cdbcdc53afec9370a7cf3d9eed0beb417&smart=true&width=1755&height=2426)
![[新 광수생각]진짜 불로소득을 묻다](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