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들이 국민의힘 때리기 경쟁을 벌이고 있다. 정청래 후보는 그제 SNS를 통해 “협치보다 내란 척결이 먼저다. 사람을 죽이려 했던 자들과의 협치를 함부로 운운하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정 후보는 국회가 본회의 의결로 정당해산 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헌법재판소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민주당 단독으로도 국민의힘 해산 심판을 청구할 수 있게 한 것이 핵심이다.
박찬대 후보도 정 후보에게 뒤질세라 강경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그는 지난 25일 ‘내란 방패’ 역할을 한 국민의힘 의원 45명의 제명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영장을 집행했을 때 용산 관저에 집결한 야당 의원들이 제명 대상이다. 박 후보는 “국민의힘이 결의안 통과에 협조하지 않으면 법무부 장관에게 위헌정당 해산 심판 청구를 건의할 것”이라고 했다.
당의 명줄을 끊겠다는 압박이 이어지고 있는데도 국민의힘은 무기력하기만 하다. 여당의 엄포에 대응하기는커녕, 찬탄(윤 전 대통령 탄핵 찬성)파와 반탄(탄핵 반대)파로 나뉘어 집안싸움만 벌이고 있다. 새 당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에 대한 관심도 싸늘하게 식었다. 반성과 변화를 거부하는 당권 주자들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워낙 크다. 오죽하면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공당으로서 최소한의 방향을 얘기하는 1호 안도 통과되지 않고 전당대회를 한다는 것은 너무 끔찍하다”고 했겠나. 윤 위원장의 1호 안은 계엄·탄핵사태에 대한 대국민 사죄를 당헌·당규에 반영하라는 것이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17%(24일 NBS 기준)까지 추락했다. 2020년 9월 미래통합당에서 국민의힘으로 당명을 변경한 이후 최저치다.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민주당에 밀린다. 국민의힘은 보수 진영에서 우리 외에 대안이 있겠느냐는 안일한 생각부터 버려야 한다. 유권자의 마음을 돌릴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보수 정당에 걸맞은 비전과 뼈를 깎는 쇄신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