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진단도 AI로…SKT·KT "일상 대전환"

3 hours ago 1

KT 부스 ‘AI 스타디움’에서 관람객들이 인공지능(AI) 야구선수를 상대로 시구를 체험하고 있다. 공을 던지면 AI가 구질, 구속 등을 파악해 알려준다.  KT 제공

KT 부스 ‘AI 스타디움’에서 관람객들이 인공지능(AI) 야구선수를 상대로 시구를 체험하고 있다. 공을 던지면 AI가 구질, 구속 등을 파악해 알려준다. KT 제공

SK텔레콤과 KT는 24일 개막한 국내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 ‘2025 월드IT쇼’에서 일상에 스며든 인공지능(AI) 기술을 주제로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였다. 두 회사 모두 체험 기회를 마련해 관람객의 발길을 붙잡았다.

SK텔레콤은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테마로 전시관을 마련했다. 부스에 들어서면 거대한 데이터센터 모양 구조물을 볼 수 있다. AI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분산된 전력원에서 수급하고 AI로 제어하는 기술과 액침냉각을 활용한 발열 관리 기능 등 에너지 솔루션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AI 데이터센터 인프라 매니저 등 설비를 관리하는 각종 솔루션도 전시했다.

구조물 주변으로는 팩토리, 오피스, 홈, 병원, 마켓 등 다양한 테마에 맞춰 도입됐거나 개발 중인 AI 서비스를 소개했다. 기업 간 거래(B2B) 서비스로는 SK텔레콤과 SK C&C가 공동 개발 중인 업무용 AI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를 비롯해 반려동물 AI 진단 보조 서비스 ‘엑스칼리버’, AI 기반 목소리 분석 및 음성 질환 진단 기술 ‘보컬 비전’ 등을 소개했다.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서비스로는 다양한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적용한 AI 에이전트 ‘에이닷’과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 상품을 추천하는 AI 기반 구독 마켓 ‘T우주’ 등을 전시했다. 이 회사의 ‘AI 피라미드 전략’을 관람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별도 이벤트 공간도 준비했다. ‘

KT는 ‘K 인텔리전스’를 주제로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AI 기술을 선보였다. ‘한옥 마당’을 콘셉트로 부스를 꾸몄다. 한옥 기와지붕을 형상화한 입구와 대형 전광판의 AI 유채꽃 풍경이 눈길을 끌었다.

‘어울림 마당’에선 마이크로소프트의 솔루션을 활용한 업무 효율화 AI 에이전트, 팰런티어와의 프로젝트 청사진 등을 볼 수 있다. 관람객이 5세대(5G) 이동통신 정밀 측위 기술 ‘엘사(EL SAR)’ 솔루션을 체험할 수 있는 미로 속 미아 인형 찾기도 준비했다. ‘놀이 마당’에선 수원 AI 스타디움에서 경험할 수 있는 AI 전광판과 야구선수를 AI로 만든 AI 로하스 등이 전시됐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