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AI' 챗GPT, 한국 진출 본격화…오픈AI 코리아 출범

4 hours ago 1

오픈AI 코리아 공식 출범
한국, 챗GPT 사용자 급증
유료 구독자 아태지역 최대
API 사용도 전 세계 10위권
'한국 AI 대전환' 지원 목표

사진=REUTERS·연합뉴스

사진=REUTERS·연합뉴스

오픈AI가 아시아에서 세 번째, 전 세계에서 열두 번째 지사인 '오픈AI 코리아'를 공식 출범했다. 한국 인공지능(AI) 대전환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목표다.

오픈AI는 10일 오전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픈AI 코리아'가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한국을 차세대 글로벌 AI 허브로 낙점했다는 설명이다.

오픈AI는 한국을 AI 발전의 최적지로 보고 있다. 한국은 그간 기술 강국으로 명성을 쌓아 왔다. 첨단 인프라, 세계적 수준의 혁신 주도 기업, 기술 친화적인 소비자들이 조화를 이루는 독보적인 풀스택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오픈AI 입장에서도 한국은 핵심 시장 중 한 곳이다. 2022년 챗GPT 출시 이후 최근 주간활성사용자(WAU) 수는 7억명을 넘어섰다. 국내에선 챗GPT WAU가 1년 전보다 4배 증가했다. 유료 구독자 수는 지난해보다 3배 이상 늘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API 사용의 경우 전 세계 국가 중 10위권 안에 포함될 정도다.

오픈AI 코리아는 국내 산업·학계·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국가의 AI 주도형 미래를 가속화하는 'AI 대전환'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오픈AI는 이미 한국의 주요 기업들과의 협력에 속도를 내고 있고 국가 차원의 AI 대전환에도 힘을 보태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 지난 2월 카카오와 전략적 제휴를 맺기도 했다. 이후 챗GPT와 카카오 생태계 간 연동을 준비하고 있다. 건설·전자·통신·금융·여행·게임·이커머스·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 선도기업들도 GPT-5와 같은 최첨단 AI 기술을 도입한 상태다. 이를 토대로 사내 혁신을 끌어내고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AI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오픈AI는 오는 11일 서울대학교와 MOU도 체결한다. 학계와의 연구 협력을 본격화하는 첫 시도다. '오픈AI 포 컨트리즈' 이니셔티브를 통해 한국 정부와의 협력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스타트업 생태계도 중점 분야 중 하나로 보고 있다. 오픈AI는 지난 2월 국내 최초 개발자 워크숍인 빌더랩을 개최한 데 이어 오는 12일엔 파운더스 데이를 열어 스타트업·개발자·VC 간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한. 11월엔 개발자와 스타트업, AI 연구자들을 모아 오픈AI 최신 기술을 공유하는 ‘데브데이 익스체인지’를 국내에서 개최한다.

크리에이터 커뮤니티와의 동반 성장도 추진하고 있다. 오픈AI의 영상·이미지 도구 활용 워크숍인 '크리에이티브 랩 서울'엔 국내 크리에이터 21명이 참여해 최근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DDP 서울라이트 가을 행사에서는 '소라'로 제작된 미디어아트를 DDP 외벽에 투사해 AI를 활용한 예술적 표현의 성과도 냈다.

오픈AI는 오는 11일 오후 기업·정부·학계·예술계 등 각 분야 주요 인사들을 초청해 오픈AI 코리아 출점을 축하하는 행사를 개최한다. 오픈AI 측에선 제이슨 권 최고전략책임자(CSO), 브래드 라이트캡 최고운영책임자(COO), 올리버 제이 글로벌 비즈니스 총괄이 참여한다.

축하 행사엔 방송인 강지영의 사회로 정재승 카이스트 뇌인지과학과 학과장, '시대예보: 경량 문명의 탄생' 저자인 송길영 박사, 조앤 장 오픈AI 랩스 대표가 패널로 나서 'AI: 인류 협업과 혁신의 새로운 엔진'을 주제로 패널 토론도 이어간다.

제이슨 권 CSO는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혁신적인 기업, 빠른 디지털 도입 속도를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라며 "오픈AI가 첨단 기술과 다양한 협력을 통해 산업, 학계, 정부 전반에서 한국의 AI 전환을 위한 혁신을 함께 만들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