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SAP CO 모듈에서 프로젝트 관리는 주로 내부 원가 관리와 프로젝트 진행 상황 추적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특히, 프로젝트 회계(Project System, PS)와의 통합을 통해 자원 배분, 비용 계획, 수익성 분석 등을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그룹, 프로젝트, **WBS(Work Breakdown Structure)**라는 계층적 구조가 활용됩니다.
- 프로젝트 그룹 (Project Group)
프로젝트 그룹은 여러 프로젝트를 묶어 관리하는 상위 단위입니다. 조직 내에서 유사한 특성을 가진 프로젝트들을 그룹화하여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보고서를 생성하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부서나 사업 단위별로 프로젝트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Project)
프로젝트는 SAP에서 정의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 단위입니다. 프로젝트는 고유한 프로젝트 정의(Project Definition)로 식별되며, 기간, 예산, 자원 등이 할당됩니다. 프로젝트는 WBS 요소로 세분화되어 세부 작업으로 관리됩니다. -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 분류 구조)
WBS는 프로젝트를 세부 작업 단위로 분할한 계층 구조입니다. 각 WBS 요소는 특정 작업, 비용, 일정 등을 관리하며, 프로젝트의 실행 단위를 나타냅니다. WBS는 프로젝트의 복잡성을 줄이고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데 기여합니다.
관련 테이블 및 관계
SAP PS와 CO에서 프로젝트 관리와 관련된 주요 테이블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테이블들은 프로젝트 데이터와 비용 데이터를 연결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 주요 테이블
- PROJ: 프로젝트 정의를 저장합니다. 필드: PSPID(프로젝트 ID), VERNR(책임자 번호), VBUKR(회사 코드).
- PRPS: WBS 요소를 저장합니다. 필드: PSPNR(WBS 번호), POSID(WBS ID), OBJNR(객체 번호).
- COBRA: WBS 요소의 정산 규칙을 정의합니다.
- COSP: CO 모듈에서 프로젝트의 계획 및 실제 원가를 저장합니다(외부 원가).
- COSS: 내부 활동 원가를 저장합니다.
- AUFK: 오더 마스터 데이터를 저장하며, 프로젝트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 테이블 간 관계
- PROJ ↔ PRPS: PROJ 테이블의 PSPID는 상위 프로젝트를 나타내며, PRPS의 PSPNR을 통해 WBS 요소와 연결됩니다. OBJNR 필드가 두 테이블 간의 객체 연결을 지원합니다.
- PRPS ↔ COSP/COSS: PRPS의 WBS 요소는 OBJNR을 통해 COSP와 COSS에서 원가 데이터를 참조합니다. 이를 통해 계획 원가와 실제 원가를 WBS 단위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 COBRA ↔ PRPS: 정산 규칙은 WBS 요소별로 정의되며, COBRA는 PRPS와 연결되어 비용 정산 로직을 제공합니다.
프로젝트를 나누어 관리하는 목적 및 업종별 사례
프로젝트를 계층적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목적은 효율성, 투명성, 그리고 책임 소재의 명확화입니다. 이는 회사의 업종에 따라 구체적인 접근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목적
- 비용 추적: 세부 WBS 단위로 비용을 관리하여 예산 초과를 방지합니다.
- 일정 관리: 작업 단위별로 일정을 설정하고 진척도를 모니터링합니다.
- 보고 및 분석: 프로젝트 그룹 단위로 통합 보고서를 생성하여 경영진의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 업종별 사례
- 제조업: 대규모 설비 프로젝트에서 자재 비용, 인건비 등을 WBS로 세분화하여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공장 건설 프로젝트는 설계, 자재 조달, 시공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건설업: 건설 프로젝트는 단계별(기초 공사, 구조 공사, 마감 공사) WBS를 통해 비용과 자원을 할당합니다.
- 게임 회사: 게임 개발에서는 기획, 아트, 코딩, 테스트 등 단계별로 WBS를 구성합니다. 예를 들어, 신규 게임 출시 프로젝트에서 아트 팀은 캐릭터 디자인 WBS를, 코딩 팀은 엔진 개발 WBS를 별도로 관리하며, 프로젝트 그룹으로 전체 출시 일정을 통합합니다.
주요 트랜잭션 코드(T-code) 설명
SAP에서 프로젝트와 WBS를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T-code는 다음과 같습니다.
- CJ20N: 프로젝트 빌더(Project Builder). 프로젝트 정의와 WBS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통합 환경을 제공합니다.
- CJ01: 프로젝트 정의를 생성합니다. 기본 데이터(프로젝트 ID, 설명 등)를 입력합니다.
- CJ11: WBS 요소를 개별적으로 생성합니다. 상위 프로젝트에 연결됩니다.
- CJ03: 프로젝트 정의를 조회합니다. 기존 프로젝트의 세부 사항을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 CJ13: WBS 요소를 조회합니다. 특정 WBS의 상태와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 CJR2: 프로젝트 계획 원가를 입력합니다. WBS 단위로 비용 계획을 수립합니다.
- KKA2: 프로젝트 결과 분석을 수행합니다. 실제 원가와 계획 원가를 비교합니다.
결론
SAP CO와 PS 모듈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는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프로젝트 그룹, 프로젝트, WBS의 계층 구조는 비용, 일정,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업종에 따라 세부적인 활용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 회사에서는 개발 단계별 WBS를 통해 창의적 작업과 기술적 작업을 분리 관리할 수 있습니다. 관련 테이블(PROJ, PRPS, COSP 등)과 T-code(CJ20N, CJR2 등)를 이해하면, SAP 시스템 내에서 프로젝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을 것입니다.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