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재 닥치는 대로 영입하는 메타에…실리콘밸리 대격변 [송영찬의 실밸포커스]

6 hours ago 1

입력2025.07.04 13:26 수정2025.07.04 13:28

일리야 수츠케버 세이프슈퍼인텔리전스(SSI) 최고경영자(CEO)./ 사진=AFP

일리야 수츠케버 세이프슈퍼인텔리전스(SSI) 최고경영자(CEO)./ 사진=AFP

오픈AI 수석과학자 출신인 일리야 수츠케버가 세이프슈퍼인텔리전스(SSI)의 최고경영자(CEO)로 기업 경영 전면에 나서기로 했다. 메타의 공격적인 인재 영입전에 공동창업자이자 기존 CEO를 빼앗긴 탓이다. 메타가 천문학적인 보상을 앞세워 인공지능(AI) 인재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며 실리콘밸리 인재 지도가 재편되는 양상이다.

메타, SSI 인수 대신 현직 CEO 영입

3일(현지시간) SSI는 수츠케버가 신임 CEO로, 대니얼 레비가 신임 회장으로 취임했다고 발표했다. SSI가 CEO를 교체한 건 지난해 6월 설립된 지 약 1년 만이다. 수츠케버 CEO는 자사 홈페이지에 글을 올리고 “대니얼 그로스(전 CEO)는 지난달 29일부로 더이상 SSI 소속이 아니게 됐다”며 “이제 내가 공식적으로 SSI의 CEO이고, 기술팀은 계속해서 내게 보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로스 전 CEO는 메타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그로스 전 CEO가 메타의 신임 AI 제품 부문 총괄이 됐다고 보도했다. 그로스 전 CEO는 20세이던 2010년 검색엔진 ‘그레플린(Greplin)’을 만들어 역대 최연소로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업계 선구자라 할 수 있는 Y콤비네이터 프로그램에 발탁된 인물이다. 그는 이듬해에는 현지 최대 규모 벤처캐피탈(VC) 세콰이어캐피탈로부터 최연소로 투자 받았고, Y콤비네이터와 애플 등을 거쳐 지난해 6월 수츠케버·레비와 함께 SSI를 공동설립해 CEO를 역임했다.

메타는 현직 CEO를 빼앗아오는 데 그치지 않고 SSI를 직접 인수하려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메타는 SSI를 인수해 수츠케버까지 영입하려고 시도했다. 수츠케버 CEO는 이날 “아마 우리를 인수하려는 기업들에 관한 소문을 들었을 것”이라며 “우리에 대한 그들의 관심은 영광이지만 우리는 우리 미션을 완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SSI가 최근 300억달러(약 43조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메타가 SSI 인수에만 300억달러 넘는 금액을 지출하려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닥치는 대로 인재 영입하는 메타

사진=REUTERS

사진=REUTERS

메타는 최근 AI 인재들을 대상으로 최대 수억달러(약 수천억원)의 보상 패키지를 제시하며 공격적인 영입전을 펼쳐왔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최근 “우리 직원 중에 메타를 가는 사람은 없다”며 진화에 나서기도 했지만, 오픈AI에선 추론형 AI 모델 ‘o1’ 개발에 앞장선 트래핏 반살 등 핵심 연구원들이 줄지어 메타행을 택하는 등 인재 유출에 속수무책인 것으로 전해졌다. 구글 딥마인드는 연구진을 대상으로 1인당 최대 수백만달러의 주식보상금을 지급하고 실제 업무를 하지 않아도 급여를 주는 ‘가든리브’ 제도를 도입하는 등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한 총력전에 나선 항황이다.

빅테크 뿐 아니라 스타트업도 메타의 타깃이 된 건 마찬가지다. 메타는 스케일AI에는 143억달러(약 19조500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하고 알렉산더 왕 스케일AI 창업자 겸 CEO는 자사 첫 AI최고책임자(CAIO)로 직접 영입했다. 현지 테크업계에서는 메타가 올해 초부터 SSI를 인수하려 했던 건 물론, AI 음성복제 스타트업인 플레이AI를 인수하려 한다는 소문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메타가 이처럼 닥치는 대로 인재 영입에 나선 건 지난달 30일 설립을 공식화한 초지능연구소(MSL)를 AI 인재 ‘어벤저스’로 구축하기 위해서다. 최근 영입에 성공한 냇 프리드먼 전 깃허브 CEO가 MSL의 초기 수장을 맡을 것으로 전해졌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AI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초지능 개발은 가시화되고 있다”며 “초지능이야말로 인류에게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 될 것이라 믿는다”고 밝혔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