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농구 창원 LG가 서울 SK와 벌인 7차전 끝장 승부에서 이겨 창단 28년 만의 첫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LG는 오늘(17일)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2024-2025 KCC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7전 4승제) 7차전 원정 경기에서 서울 SK를 62-58로 물리쳤습니다.
1~3차전에서 승리했으나 4~6차전을 연달아 내줘 '역스윕'(역싹쓸이) 위기에 몰렸던 LG는 시리즈 마지막 경기를 잡아내며 4승 3패로 극적인 승리를 거뒀습니다.
프로농구 출범과 함께 1997년 창단한 LG가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지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정규리그 1위는 2013-2014시즌 한 차례 이룬 적이 있으나, 해당 시즌 봄 농구에선 준우승에 그쳤습니다.
2022년 LG 지휘봉을 잡아 데뷔 시즌과 2023-2024시즌 잇따라 팀을 4강 PO에 올려놓은 것에 만족해야 했던 조상현 감독은 우여곡절 끝에 구단 첫 우승을 지휘해 냈습니다.
조 감독은 김승기 전 고양 소노 감독, 전희철 SK 감독에 이어 선수, 코치, 감독으로 우승을 경험한 3번째 농구인이 됐습니다.
SK는 역대 최소인 46경기 만에 정규리그 1위를 확정한 기세를 5월로 이어오지 못하고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습니다.
6차전과 마찬가지로 양 팀 모두 슛 난조를 보인 가운데 LG가 1쿼터 10-8로 앞서나갔습니다.
양 팀 합계 18점은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한 쿼터 최소 득점 신기록입니다.
2쿼터에도 양 팀의 슛은 여전히 영점이 맞지 않은 모습이었으나 공격 리바운드에서 앞선 LG가 격차를 벌려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쿼터 초반 허일영과 양준석의 3점이 잇따라 터진 LG가 8점 차까지 달아났으나 막판 잇단 턴오버에 득점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추격을 허용해 27-23으로 전반을 마쳤습니다.
팽팽하던 흐름은 4쿼터 LG의 외곽포가 폭발하면서 요동쳤습니다.
베테랑 허일영과 영건 양준석이 잇따라 3점을 꽂아 49-44로 격차를 벌렸습니다.
6분 20여 초에는 시리즈 후반부 들어 부진하던 타마요가 우중간에서 이날 자신의 2번째 3점을 넣었습니다.
5분 30여초엔 허일영이 다시 정면에서 3점을 던져 림을 갈랐고, 55-45로 이날 첫 10점 격차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SK도 가만히 있지 않았습니다.
LG의 득점을 약 3분 동안 묶고 김형빈의 연속 3점과 김선형이 속공 득점으로 53-55로 따라붙었습니다.
1분 58초를 남기고는 LG 타마요가 김태훈에게 파울을 범해 5반칙 퇴장당하고, 김태훈의 자유투 득점이 더해지면서 SK는 54-55를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이후 SK 공격은 김선형과 워니의 잇딴 슛 불발로 소득 없이 끝났습니다.
LG는 유기상의 스틸에 이은 속공에서 마레이가 38초를 남기고 득점해 57-54로 다시 승기를 잡았습니다.
종료 20여초를 앞두고 58-55로 앞선 LG가 공격에 나섰고, SK는 파울 작전에 돌입했습니다.
SK는 워니가 11.1초를 남기고 3점을 꽂아 2점 차를 만드는 등 마지막까지 사력을 다했으나 유기상이 자유투 4개를 모두 성공하면서 LG가 우승의 영광을 차지했습니다.
LG의 베테랑 허일영이 3점 4개를 포함해 양 팀 최다 14점을 몰아치며 펄펄 날았습니다.
리바운드 14개를 잡아낸 마레이와 12점을 넣은 유기상의 활약도 빛났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