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철 감독 "세월호 잠수사 트라우마 커…상처 극복 고민하자"

18 hours ago 3

故김관홍 잠수사 모티프 '바다호랑이' 전주영화제서 공개

제작비 조달 어려움에 연극 기법 활용…세트장·마임 연기 눈길

이미지 확대 영화 '바다호랑이' 관객과의 대화 현장

영화 '바다호랑이' 관객과의 대화 현장

[촬영 오보람]

(전주=연합뉴스) 오보람 기자 = "이제 여러분들은 이 세트장에서 한 편의 영화를 작업하게 될 겁니다."

영화 '바다호랑이'는 정윤철 감독의 이런 말로 시작한다. 이에 따라 배우들은 공연 연습실에 단출하게 지어진 세트 안에서만 연기한다. 보이지 않는 대상을 마치 실재하는 것처럼 마임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연극을 영상화한 것 같은 느낌도 든다.

김탁환의 소설 '거짓말이다'를 원작으로 한 이 작품은 세월호 잠수사 경수(이지훈 분)가 고통을 극복하고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는 긴 여정을 그린다. '바다호랑이'는 2021년 4·16재단 문화콘텐츠 공모전 장편 극영화 시나리오 부문 당선작으로 당초 100억원대 규모의 블록버스터로 기획됐지만, 제작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이 같은 실험적인 형식을 택했다.

"처음엔 자본 문제 때문에 선택한 방식이지만, 완성된 걸 보니 이 작품의 형식이 가진 장점도 큰 것 같아요. 만약 배 안으로 들어가서 아이를 구하는 모습을 직접 찍는다면 촬영 방법도 고민해야겠지만 그걸 보는 관객이 견딜 수 있을지도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정 감독은 2일 CGV 전주고사에서 열린 '바다호랑이' 관객과의 대화(GV)에서 차선으로 취한 방법이 오히려 작품에 힘을 불어넣게 됐다고 소개했다. 이 영화는 최근 개막한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의 코리안시네마 부문에 초청돼 상영되고 있다.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비교적 덜 조명된 실종자 수색 잠수사들의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운 게 특징이다. 주인공 경수는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민간 잠수사로 구조팀에 합류해 시신을 수습한 고(故) 김관홍 씨를 모티프로 만들어진 캐릭터다.

정 감독은 "영화를 상영하면 김관홍 잠수사께서 어느 한자리에 앉아 계실 것 같다는 말을 종종 하곤 했다"며 "내일 유가족분들도 관람하실 예정인데 '우리 아빠가 저렇게 열심히 살고 좋은 일을 하셨구나' 하며 기쁘게 생각하실 것 같다"고 했다.

영화는 경수가 잠수병으로 잠수사 일을 그만두고, 극심한 죄책감과 트라우마로 인해 그의 일상이 망가지는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해경이 구조 작업 당시 발생한 민간 잠수사 이광욱 씨 사망의 책임을 물어 민간 잠수사 지휘자였던 공우영 씨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고소한 사건 등 실제 일어났던 일도 구체적으로 담겼다.

정 감독은 "잠수사분들 역시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고, 트라우마로 아직 고생하고 있지만 (국가와 국민에게서) 잊혔다"며 "국가에서는 이들을 의병처럼 징발해놓고 버렸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대한민국은 트라우마가 많은 나라다. 이런 상처를 우리가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를 우리 영화를 통해 고민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영화 '바다호랑이' 속 한 장면

영화 '바다호랑이' 속 한 장면

[영화로운형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ramb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5월03일 15시39분 송고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