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기간 야외 대기오염에 노출될 경우 치매 위험이 의미 있게 증가함
-
PM2.5, 이산화질소(NO2), 그을음 등 세 가지 주요 오염 물질이 치매 발병과 관련 있음
- PM2.5 농도 10μg/m³ 증가 시 치매 상대 위험이 17% 상승함
- 뇌의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가 대기오염이 치매를 유발하는 기전으로 제시됨
- 연구진은 정책 개입 필요성 및 취약계층 대표성 강화를 강조함
치매와 대기오염: 개요
- 전 세계적으로 Alzheimer's disease 등 치매 환자는 5,740만 명 이상이며, 2050년에는 약 1억 5,280만 명까지 증가 예상임
- 개인, 가족, 돌봄제공자,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큼
- 유럽과 북미에서는 치매 유병률이 다소 감소 추세이나, 타 지역은 그렇지 않음
대기오염과 치매의 연관성 분석
- 최근 연구에서 대기오염이 치매 위험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나, 인과관계 증거 강도에는 차이 존재함
-
University of Cambridge MRC Epidemiology Unit 연구진은 현재까지의 과학 문헌을 대상으로 체계적 검토 및 메타분석을 실시함
- 개별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신뢰성 있는 결론 도출을 위해 51편의 연구를 통합 분석함
- 총 2,900만 명 이상이 1년 이상 대기오염에 노출된 데이터를 포함
- 메타분석에 포함된 논문은 북미 15편, 유럽 10편, 아시아 7편, 호주 2편임
주요 위험 오염물질
-
PM2.5(지름 2.5마이크론 이하 미세먼지) : 다양한 배출원(차 배기가스, 발전소, 산업, 나무 연소, 건설 먼지)에서 발생하며, 장기간 공기 중에 존재할 수 있음
-
이산화질소(NO2) : 화석연료 연소 과정(차량 배출가스, 산업, 가스스토브 등)에서 주로 발생
-
그을음: 차량 및 목재 연소 등에서 발생하며, 체내로 흡입 시 심혈관 및 호흡기계 질환 위험 증가에 연관
오염물질 농도 증가에 따른 치매 위험 상승
- PM2.5 농도 10μg/m³ 증가 시 치매 상대 위험 17% 상승
- 2023년 런던 중심부 PM2.5 평균 농도는 10μg/m³임
- NO2 농도 10μg/m³ 증가 시 치매 상대 위험 3% 증가
- 2023년 런던 중심부 NO2 평균 농도는 33μg/m³임
- PM2.5 내 그을음 1μg/m³ 증가 시 치매 상대 위험 13% 상승
- 2023년 기준 영국 도로변 그을음 평균: 런던 0.93μg/m³, 버밍엄 1.51μg/m³, 글래스고 0.65μg/m³임
전문가의 견해와 대기오염 저감의 효과
-
MRC Epidemiology Unit Dr Haneen Khreis: 역학적 증거가 치매 위험 요인 평가에 중추적, 장기적 대기오염 노출의 치매 발병 위험 증거 강화됨
- 대기오염 저감 정책은 건강, 사회, 기후, 경제에 걸친 긍정적 효과와 더불어, 의료 체계 부담 경감에 기여 가능함
대기오염이 치매를 유발하는 기전
- 뇌 염증 유발, 산화 스트레스 촉진 등이 주요 메커니즘임
- 오염물질이 뇌에 직접 침투하거나, 폐 및 심혈관계 질환 기전과 유사하게 체내 염증 및 손상 유도함
- 혈액순환을 통해 기관 곳곳에 도달해 전체 및 국소적 염증 반응 일으킴
연구 대상의 대표성과 후속 연구 필요성
- 대부분 연구는 고소득권 백인 인구를 주로 반영함, 오염에 더 취약한 소외계층은 대표성이 낮음
- 소외계층이 대기오염 저감 시 사망 위험 감소 효과가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 향후 다양한 인종 및 저소득 국가 대상 연구 확대 필요함
정책적 제언 및 사회적 대응
- Clare Rogowski(MRC Epidemiology Unit): 주요 오염물질 노출 저감이 사회적 치매 부담 경감에 기여함
-
교통, 산업 등 주요 오염원에 대한 규제 강화, 지역·국가·국제적 정책 개입의 필요성 강조됨
부가적 분석 결과
- 해당 오염물질 노출은 Alzheimer's disease에도 영향을 주나, 특히 뇌혈관성 치매(뇌 혈류 저하로 인한 치매)에 더 강한 효과가 나타남
- 영국에는 약 18만 명의 뇌혈관성 치매 환자가 존재함
- 이 차이는 데이터 수가 적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으나, 후속 연구 필요성 시사함
다학제적 접근의 중요성
- Dr Christiaan Bredell(University of Cambridge, North West Anglia NHS Foundation Trust): 치매 예방은 의료분야에 국한된 과제가 아니며, 도시계획·교통·환경 규제의 역할이 큼
연구지원
- 본 연구는 European Research Council Horizon 2020 연구혁신 프로그램 및 EU Horizon Europe Framework Programme 지원 받음
참고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