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잘못된 일이 벌어지는가 Scale AI CEO Alexandr Wang의 메모 [번역글]

6 hours ago 1

Scale AI의 CEO, Alexandr Wang이 2019년 Scale AI 팀에게 보낸 메모 중 일부

정보 압축: 왜 일이 잘못되는가?

1. 정보 압축이란 무엇인가?

  • 현실 세계의 복잡한 상황을 인간이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한 언어나 그림으로 전달하는 과정이 바로 ‘정보 압축’임.
  • 하지만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뉘앙스와 중요한 맥락이 사라짐.

2. 왜 정보 압축이 문제를 일으키는가?

  • 압축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정보 손실이 발생, 결과적으로 왜곡된 메시지가 전달됨.
  • 상대방은 실제 상황과는 거리가 먼 이미지를 머릿속에 그리게 되고, 그 기반 위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다 엉뚱한 결과가 나옴.
  • 대부분의 조직 내 의사소통 실패와 비효율성의 근본 원인은 이 정보 압축의 한계에 있음.

3. 조직 규모와 정보 압축의 상관관계

  • 작은 스타트업(5명 미만) 은 모든 구성원이 맥락을 공유하고, 사전 지식(prior)이 비슷해 압축된 정보만으로도 충분히 소통이 가능함.
  • 조직이 커질수록 부서 간 벽(사일로)이 생기고, 공유 컨텍스트와 사전 지식이 약화되어 정보 압축의 부작용이 커짐.
  •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인계, 오해, 비효율적인 결과물이 늘어남.

4. 정보 압축 문제의 대표적 사례

  • 고객의 요구사항: 고객이 자신의 문제를 압축해서 전달하지만, 실제로 원하는 것과는 거의 일치하지 않음.
  • 비개발자→개발자 요청: 비개발자가 개발자에게 일을 요청할 때, 실제 난이도와 맥락이 전달되지 않아 엉뚱한 결과가 나옴.
  • 실제 문제와 무관한 솔루션: 표면적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 같지만, 실질적 개선 효과가 없는 결과물이 나옴.

5. 정보 압축의 해법

  • 인계 최소화, 직접 경험: 문제를 직접 경험하고, 인계를 줄이는 것이 최선.
    (예: 도그푸딩, 다양한 역할 직접 경험)
  • 강한 조직 문화: 사전 지식(prior)과 맥락을 조직 내에서 공유해야 함.
  • 고객과 코드의 거리 최소화: 고객 문제와 실제 개발이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함.
  • 호기심과 추가 질문: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 끊임없이 질문하고, 맥락을 파악하려 노력해야 함.
  • 고객 출신 인재 채용: 실제 문제를 잘 아는 사람이 팀에 있으면 맥락 손실이 줄어듦.

6. 핵심 요약

  • 정보 압축은 불가피하지만, 항상 불완전하다.
  • 조직이 커질수록 정보 압축의 부작용이 커진다.
  • 최고의 해법은 '압축'에 의존하지 않는 조직 구조와 문화, 그리고 직접 경험이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