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당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지역 순회 경선 초반 90%에 가까운 득표율로 압승했다. 19일 충청권, 20일 영남권의 권리당원 투표를 합쳐 89.56% 지지를 얻어 한 자릿수 득표에 그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를 크게 앞섰다. 민주당은 권리당원 투표 50%와 민주당 지지층·무당층 대상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후보를 확정하는데, 이제 호남권과 수도권·강원·제주에서 각각 치러지는 2차례 권리당원 투표와 1차례 여론조사가 남았다.
이 전 대표의 독주는 어느 정도 예상됐던 것이다.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 대세론이 거센 가운데 경선 규칙마저 이 전 대표가 몰표를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당 지도부는 다른 후보들의 반발에도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이 직접 경선 투표에 참여하는 국민선거인단 방식을 20여 년 만에 폐기하고 이 전 대표가 압도적 지지를 받는 권리당원에게만 투표권을 줬다. 2021년 50%대 초반이었던 이 전 대표의 대선 경선 초반 득표율이 90%에 육박할 정도로 치솟은 데는 이 같은 경선 규칙 변경도 영향을 줬을 것이다.
이처럼 경선 결과가 뻔히 보이자 후보들을 검증해야 할 TV토론회도 맥 빠진 모습이다. 18일 첫 토론회는 대부분 이슈에서 세 후보가 비슷한 견해를 보이고 논쟁을 피하면서 싱겁게 끝났다. 그마저도 당 지도부는 애초 토론회를 2차례만 열려다가 다른 후보들 반발에 1차례 늘렸는데, 2017년 탄핵 뒤 치러진 경선 때 10차례 넘게 한 것과 비교해도 너무 적다. 이 와중에 당 지도부가 지난해 총선 때 불공정 조사 논란으로 비명계 반발을 샀던 조사 업체의 후신 격인 업체를 이번 경선 여론조사 4개 업체 중 하나로 선정해 신뢰도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는 이 전 대표는 경선 승리가 떼어 놓은 당상이라 여길지 모르지만 경선이 그저 대선 후보 추대를 위한 ‘요식 행위’가 될 수는 없다. 치열한 논쟁으로 후보 자격을 검증받고 이를 통해 지지 기반을 넓히는 기회가 돼야 한다는 점에서 과정이 중요하다. 뻔한 결말에 힘 빠진 토론, 경선의 신뢰성 논란으로는 국민에게 감동을 주기 어려울 것이다.-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