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K 열풍에 올라타지 못하는 역직구, 기업 혁신 부족 탓

7 hours ago 1

입력2025.07.28 17:32 수정2025.07.28 17:32 지면A31

해외 소비자에게 국내 상품을 직접 판매하는 역(逆)직구 시장이 해외 직구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한국은행이 지적했다. 지난해 8조1000억원 규모로 성장한 해외 직구 시장은 2017년 이후 연평균 20.1% 성장했지만 역직구는 같은 기간 6000억원에서 1조6000억원으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 ‘K푸드’ ‘K뷰티’ 등의 높은 해외 인지도와 인기몰이를 감안하면 아쉬운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역직구가 해외 직구에 비해 성장이 턱없이 더딘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5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천송이 코트’ 사례를 언급하며 역직구 활성화를 주문했다. 당시 정부는 외국처럼 쉬운 결제 시스템을 도입해 역직구를 늘리면 수출 못지않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며 보안 플러그인 ‘액티브X’ 퇴출, 간편결제 도입 등 규제 완화에 나섰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도 역직구 시장은 해외 직구의 20% 수준에 머물고 있다.

한은은 역직구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크게 두 가지를 지목했다. 우선 대부분 국내 전자상거래업체가 여전히 회원 가입 시 국내 개통 휴대폰을 통해 본인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는 점이다. 해외 소비자의 접근성을 크게 해치고 있다는 얘기다. 해외에서 발급된 비자, 마스터카드 등 글로벌 카드나 페이팔, 알리페이 같은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를 결제 수단으로 허용하지 않는 점 역시 문제다. 현행 규제에서도 충분히 개선 가능한데도 업체들 스스로 문을 닫아걸고 있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렵다.

역직구 시장을 활성화하려면 회원 가입 신청자의 이메일이나 전화번호만으로도 가입을 허용하는 등 가입 문턱부터 과감히 낮춰야 한다. 또한 국내외 간편지급 서비스 연계 시스템을 구축해 결제의 편의성을 높여야 한다. 아마존의 ‘1초 결제’ 같은 것도 도입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저렴한 비용으로 빠른 배송이 가능하도록 해외 배송 인프라도 확충해야 한다. 정부 역시 혁신 주체인 국내 e커머스 업체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힘을 보태야 할 것이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