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인 남편·일본인 아내’ 부부가 1176쌍 탄생했다. 전년 대비 40% 증가해 10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내가 한국인인 ‘한일 부부’는 147쌍에 불과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5분의 1 수준이다. 최근 일본 신문 ‘닛케이’는 원인으로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한국이 일본 추월, 드라마 ‘겨울연가’ 이후 일본 내의 지속적인 한류(韓流) 바람을 꼽았다.
▶“결혼은 단순히 영적인 결합이 아니라 재정 계획이기도 하다”는 말이 있다. ‘한남일녀(韓男日女) 커플’ 증가는 ‘경제’로 가장 쉽게 설명된다. 국제결혼 시장에서는 주로 경제력이 낮은 나라의 여성이 잘 사는 나라의 남성과 결혼한다. 70년대에는 잘사는 나라 일본의 남성과 ‘상향혼’을 하려는 한국 여성들이 있었다. 주로 일본 농촌 총각과의 결혼이었다. 이 현상이 90년대 이후에는 우리나라 남성과 동남아 여성의 결혼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 ‘일본 신부’가 갑자기 폭증한 경우도 있었다. 1995년 서울에서 치러진 3만5000쌍 통일교 합동 결혼식에는 수천 쌍 이상이 한일 커플이었다고 한다. 여성학에서는 이를 두고 “‘하향혼’이 종교 서사로 합리화된 경우”라고 설명한다. 한남일녀 커플은 2012년에도 1891건이나 됐지만, 이때는 ‘종교혼’ 숫자도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