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부 발트해 대구의 평균 크기가 지난 30년 동안 크게 감소함
-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남획이 이 생선의 유전자를 변화시킨 것으로 밝혀짐
- 대구 몸집 감소는 단순한 환경 변화가 아니라 인위적 진화 과정의 결과로 확인됨
- 대구의 유전적 다양성 손실로 인해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가 더 어려워질 가능성 있음
- 이 연구는 인간 활동이 진화를 가속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임
새로운 연구: 발트해 대구 크기 감소의 비밀을 밝힘
개요
- 동부 발트해 대구의 몸집이 30년 전보다 절반 이하로 감소함
- 원인으로는 지속적인 남획이 지목됨
- 최근 발표된 연구는 남획이 단지 큰 개체만 줄인 것이 아니라, 유전자 구성을 변화시켜 전체 개체군이 작아지도록 만들었음
연구 배경 및 관찰
- 1987년경, 대구는 1미터가 넘는 큰 크기로 성장했으나, 2019년에는 손바닥 크기로 감소함
- 수십 년 간 벌어진 집약적 그물 어획에 의해 작은 대구만 살아남을 확률이 높아짐
- 단순한 환경적 요인(오염, 수온 변화 등)과 진화적 변화를 구분하는 일이 어려웠음
- 대구 보호를 위해 2019년 어획 금지 조치가 내려졌지만, 크기 회복 조짐은 나타나지 않음
연구 방법
- 연구팀은 1996~2019년에 잡힌 대구에서 추출한 152개의 이석(내이 구조물)을 분석함
- 이석은 해마다 성장 내용을 기록하는 생물학적 시계 역할을 하여 성장 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함
- 각 개체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빠른 성장과 연관된 유전 변이를 탐색함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큰 몸집과 연관된 변이가 점점 희귀해졌음을 발견함
- 이런 변화는 외부 압력이 개체군의 진화를 유도했음을 시사함
진화와 미래 영향
-
인간 활동이 자연계에서 가장 강한 선택 압력을 가한다는 점이 확인됨
- 온난화 등 환경 요인도 일부 영향이 있지만, 남획에 의한 변화가 결정적임
- 성장 속도가 빠른 유전자가 이미 사라졌을 수 있으며, 이는 유전적 다양성 감소로 이어짐
- 다양성 저하는 미래 환경 변화에 적응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음
- 진화적 변화는 수 세대에 걸쳐 일어나기 때문에, 복구에는 훨씬 오랜 시간 소요 또는 회복 불가 가능성도 있음
연구 평가 및 시사점
- 외부 연구자들은 이번 결과를 인간 활동이 진화를 가속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함
- 단순히 개체수 추적에 그치지 않고, 유전자 풀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강조함
- 대구의 사례는 생물 자원 관리와 생태계 복원 정책에 있어 진화적 변화 고려의 필요성을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