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의 한 의료기관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의 심폐소생술을 하다가 의료진 7명이 2차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들의 증상이 모두 사라져 추가 전파 위험은 없다고 방역당국은 설명했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의료기관에서 SFTS 환자를 심폐소생술 하다가 의료진 7명이 2차 감염돼 역학조사와 접촉자 관리를 진행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1차 환자였던 69세 여성 A씨는 지난달 2일부터 발열 등의 증상으로 4일 보은에 있는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았다. 지난 5일 청주에 있는 종합병원으로 전원됐지만 열이 심하고 범혈구감소증 등이 나타나 9일 청주에 있는 상급종합병원으로 이송됐다. 이후 환자 상태는 급격히 나빠졌고 중환자실에서 심폐소생술 받다가 11일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했다.
이후 17~20일 이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했던 의료진 중 9명이 발열, 두통, 근육통, 설사 등 증상을 호소했다. 이들 중 7명은 SFTS로 확진돼 관할 보건소에 신고됐다. 이들은 A씨의 기관 내 삽관, 객담 흡입, 인공호흡기 적용, 심폐소생술 등을 담당하던 의료진으로 혈액과 체액 등에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SFTS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 7명 모두 증상이 사라진 상태다.
질병관리청은 SFTS 환자의 혈액과 체액에 직접 노출된 의료진과 장례지도사, 간접적으로 혈액·체액에 노출 위험성이 있는 시·공간적 노출자를 대상으로 최대잠복기(14일)의 2배인 28일 동안 증상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있다. 추가 전파 우려는 크지 않다는 게 방역당국의 판단이다.
SFTS는 이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된다. SFTS에 감염된 뒤 고농도의 바이러스를 배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증환자나 사망자를 치료할 때 혈액과 체액에 노출되면 사람 간 전파되기도 한다. 2014년 이후 국내 2차 감염자는 35명이다. 의료종사자 34명, 장례지도사 1명이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SFTS 환자를 진료할 땐 개인보호구 착용 등 감염관리를 철저히 준수해달라"며 "농작업 및 야외활동을 할 때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옷, 모자, 양말 등을 착용하고 기피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