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학과 토론술의 차이
논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오랫동안 연구한 논증과 설득의 방법을 집대성한 학문이다. 이 학문은 이성의 법칙에 따라 논증 상대방의 동의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성을 통해 합의가 가능하려면,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전제가 암묵적으로 깔려 있어야 한다. 자신의 생각과 다르더라도 합리적인 추론으로 밝혀진 진리라면 누구나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타인의 고집을 꺾는 방법은 무엇일까. 완고한 상대를 무너뜨리기 위한 토론의 꼼수는 마치 칼을 사용하는 싸움과 같다. 쇼펜하우어는 “토론술은 정신으로 하는 검술이다”라고 표현했다. 그는 토론술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봤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이웃이 약점을 보일 때 그것을 공격하라고 조언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이웃이 다시 반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타인에 대해 신의나 정직함을 가져서는 안 된다. 토론에서도 상대방의 주장에 대한 공격과 방어가 목숨을 건 싸움처럼 전개되기 때문이다.
토론술은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기술’로서,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우기는 사람의 부당한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동시에 상대방의 주장을 공격하는 전략이기도 하다. 이 기술은 참된 주장뿐 아니라 거짓된 명제를 방어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부정한 수단을 써서라도 논쟁에서 이기려면 올바름에 대한 판단보다는 교활함과 민첩성이 더 중요하다. 토론술은 자신의 주장을 방어하고, 상대의 주장을 무너뜨리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논쟁이 끝날 때까지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 알 수 없다. 정확히 말하면, 토론술에서는 ‘누구 말이 옳은가’보다 ‘누가 싸움에서 이겼는가’가 더 중요하다. 결국 싸움에서 이긴 사람의 말이 진실처럼 받아들여지게 된다. 논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검술을 익혀야 한다. ‘부정직한 요령’을 모른다면 상대의 술수를 간파하지 못해 크게 당할 수 있다. 상대의 계략을 잘 알고 있어야만, 그에 속지 않고 논쟁에서도 이길 수 있다. 상대의 주장이 진실이든 거짓이든 중요하지 않다. 잔꾀를 써서 이기기만 하면 그만이기 때문에, 이성에 호소하기보다는 감정을 자극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쇼펜하우어의 토론술은 상대방과 말이 전혀 통하지 않는 고집불통의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야비한 술책’이다. 그러나 상대가 합리적인 대화가 가능한 사람이라면, 대화를 통해 새로운 관점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신념을 수정할 수 있다. 감정보다 이성이 제대로 작동해야 다양한 의견의 수렴과 합의가 가능하다. 차분하고 냉정한 논리로 문제를 함께 풀어간다면, 쇼펜하우어식 ‘대화의 검술’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목소리가 큰 사람이 이기고, 거짓이 진실로 둔갑되는 야만의 사회를 우리는 늘 경계해야 한다.
강용수 고려대 철학연구소 연구원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