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이번 토론회에 함께하시어 토론 수준을 높여 주세요.
② 우리 행동계획에 함께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③ 내일 이삿짐 옮겨야 해요. 함께 합시다(옮깁시다).
이들 예문이 바른지 판단하기 위해 [함께]부터 함께 살펴봅니다. 첫째 뜻은 '한데 섞여 어우러져 혹은 여럿이 한데 어울려'입니다. 나와 함께 가자 / 친구와 함께 영화를 봤다 / 입 모아 함께 노래합시다, 합니다. '떼어놓거나 빼지 않고'란 의미도 있습니다. '배는 망고와 함께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일이다'가 예문입니다. '그는 감독 취임과 함께 새로운 시즌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하는 문장도 보입니다. 이땐 '어떤 행동과 동작이 일어나는 동시에. 또는 거의 때를 같이하여'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이미지 확대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문의 내용 캡처
함께가 [하다]를 수식하여 '함께 하다'입니다. 특별할 게 없습니다. 부사가 동사를 꾸몄을 뿐이니까요. 함께 가보자, 함께 왔습니다, 함께 걸어요, 함께 달립시다, 함께 공부해요 하는 것과 구조 면에서 다를 바 없습니다. 그런데도 이를 제목에 담은 것은 [함께하다]라는 합성어와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둘을 견주려는 것은 '함께하다'를 쓸 자리에 '함께 하다'를 쓰는 오류가 빈발하기 때문이고요.
함께하다는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과 뜻이나 행동을, 또는 둘 이상의 사람이 뜻이나 행동을 동일하게 가지거나 비슷하게 한다는 뜻입니다. 이렇듯 독립적 의미를 가진 단어들(함께, 하다)이 합쳐져서 새 의미를 가진 단어가 된 게 합성어입니다. 함께하다는 또,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과 일정한 경험이나 생활을, 또는 둘 이상의 사람이 일정한 경험이나 생활을 한동안 더불어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말합니다. 뜻을 함께하고, 행동을 함께하고, 생사고락을 함께한다고요. 술자리를 함께하며 기쁨뿐만 아니라 고통까지도 함께한다고요. 더러 헷갈리게 되는 건 [함께하다]와 '함께 하다'가 비슷한 어감으로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AI) 퍼플렉시티는 "함께"를 빼도 문장이 말이 되면 '함께 하다'를, 의지를 담은 하나의 행동이면 [함께하다]를 쓰라고 요령을 귀띔합니다. 완벽할 리 없습니다. 말뜻을 되뇌며 감각을 익히는 수밖에 없습니다. 저 위 ①, ②, ③ 예문을 판정합니다. 모두 오류 없습니다. 여기까지 함께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인하대학교 국어문화원 우리말바로알기 '함께 하다'와 '함께하다'의 차이 - http://www.inhakorean.or.kr/onboard.php?bname=hangeul&mode=view&idx=36¤t_page=3&stype=&sword=&category=
2.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함께 하여 / 함께하여 띄어쓰기 문의 -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84576&pageIndex=1&searchCondition=&searchKeyword=
3. 네이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4. 표준국어대사전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8월06일 05시55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