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로봇청소기업체 로보락이 한국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를 중국에서 직접 수집하도록 관련 규정을 바꿨다는 한경 단독 보도(7월 3일자 A1, 4면)다. 이 업체는 종전까지는 미국 데이터센터에서 한국 고객 데이터를 수집토록 하는 규정을 운영했지만, 지난 3월 31일 내놓은 새 규정엔 중국에서 직접 수집해 처리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로보락 제품을 쓰려면 스마트폰에 앱을 깔고 이름, 전화번호, 비밀번호 등을 입력해야 하는데 이 같은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넘어간다는 얘기다.
한국 소비자 개인정보가 로보락 중국 서버에만 보관된다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중국은 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데이터를 수집하면 관련 기업은 반드시 협조하도록 한 데이터보안법을 2021년부터 운용 중이다. 한국 소비자의 개인정보가 중국 정부에 넘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소비자들 사이에선 로보락 청소기가 촬영한 영상도 중국 및 중국 정부에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일으킨 중국 기업은 로보락만이 아니다. 알리는 제대로 된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중국 업체 등에 넘기다가 지난해 7월 약 2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고, 테무 역시 무단으로 개인정보를 국외 유출하고 법적 근거 없이 주민번호를 수집하다가 지난 5월 약 14억원의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딥시크 역시 비슷한 문제로 지난 4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시정 및 개선 권고를 받았다.
미국은 연방 정부기관의 틱톡 사용을 금지하고 화웨이 장비 구입을 금지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독일 정부도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중국에 넘기고 있는 딥시크를 앱스토어에서 퇴출하라고 최근 애플과 구글에 요구했다.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 3월부터 로보락 등의 개인정보 유출 의혹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철저한 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강력한 조치가 나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