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李-金 “GTX 대폭 확대”… A-B-C 노선도 갈 길 먼데

5 hours ago 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를 기존 계획보다 더 넓은 지역에 빠르게 놓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서울과 수도권을 잇는 노선을 다른 지역까지 확장하거나, 광역자치단체별로 광역급행철도를 건설해 지역균형 발전을 이루겠다고 한다. 하지만 16년 전 제안된 GTX-A 노선의 완전 개통도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인 만큼 차기 대통령 임기 내에 비용, 시간의 문제를 극복하긴 어려워 보인다.

이 후보는 지난달 말 SNS를 통해 ‘수도권 1시간 경제권’ 공약을 발표하면서 GTX-A·B·C 노선 신속 추진과 수도권 외곽, 강원지역 연장을 약속했다. D·E·F 등 신규 노선, 경기도의 GTX플러스 노선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는 어제 ‘GTX로 쫙 연결되는 나라’ 공약을 내놓으면서 임기 내 GTX A·B·C 노선 모두 개통, D·E·F 노선 착공을 약속했다. 또 충청,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호남 등에도 권역별 광역급행철도를 놓겠다고 했다.

문제는 도심 구간에 40∼50m 깊이로 터널을 뚫는 광역급행철도의 건설이 노선 하나당 4조∼5조 원의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점이다. 재원 마련의 어려움 때문에 공사는 계속 지연되고 있다. 2009년 경기도가 제안한 GTX-A 운정∼서울역 구간은 2018년 12월에 착공해 개통에 6년이 걸렸고, 2028년이 돼야 나머지 구간이 개통된다. B·C 노선은 작년 4·10 총선을 앞두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착공식을 열었지만 실제 공사는 첫 삽도 못 떴다. 노선을 연장하고, 지역을 추가하면 비용은 천문학적으로 증가할 게 뻔하다. 인구가 적은 지역에 무리해 광역급행철도를 건설했다간 지방정부 재정에 두고두고 큰 짐이 될 것이다.

정부가 수도권 신도시를 지으면서 주민에게 한 교통망 건설 약속은 조속히 지켜져야 한다. 하지만 충분한 검토 없는 광역급행철도의 확대는 지역균형 발전이란 취지와 정반대로 기업, 일자리를 중심부에 쏠리게 만드는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치밀한 청사진과 재원 마련 방안 없이 추진을 약속했다가 나중에 국민에게 실망만 안길 교통 인프라 확대 공약은 자제돼야 한다.

사설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사설

  • 관계의 재발견

    관계의 재발견

  • 동아시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