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는 전 세계 결제 처리 시장의 약 90% 를 점유하며, 두 기업의 시가총액 합계는 8,500억 달러에 달함
- 1950년대부터 시작된 신용카드 산업의 역사적 배경과 미국 주요 은행의 적극적인 참여로 듀오폴리 구조가 구축됨
-
네트워크 효과와 유통망, 강력한 규모의 경제를 앞세워 신규 진입자 및 경쟁자와의 차별화에 성공함
- 최근 Amazon 등 대형 리테일러의 수수료 인하 요구, 인도 정부의 RuPay 같은 국가 주도 결제 네트워크 등장 등 도전과제가 커지고 있음
-
핀테크, 디지털 지갑, Buy-Now-Pay-Later 등 혁신 기술 및 규제 변화가 이들의 시장 지배에 새로운 위협으로 부상함
신용카드 산업의 역사적 배경
-
글로벌 결제 처리 시장은 비자와 마스터카드가 90% 이상의 압도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이 두 회사의 듀오폴리 구조는 1950년 Diners Club에 의해 최초의 현대적 신용카드가 등장하면서 시작됨
- 1958년에는 American Express가 대규모로 카드를 발급하며 유의미한 입지를 확보했으며, Bank of America가 같은 해 캘리포니아에서 자체 신용카드를 시작해 1966년 이름을 Visa로 변경한 후 1976년 독립 기업으로 분사함
- 1966년에는 경쟁업체들의 연합인 Interbank Card Association이 Master Charge를 출시했으며, 1979년에 Mastercard로 명칭을 변경함
- 오늘날 Visa와 Mastercard는 S&P 500 내에서도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2023년 기준 Visa 67%, Mastercard 57%) 을 기록함
Visa와 Mastercard가 지배력을 확립한 과정
-
미국에서 카드를 처음 도입한 선점 효과와 더불어, Diners Club, American Express 등 선행 업체에 이어 주요 은행이 Visa와 Mastercard를 직접 창립 및 배포함
- 초기에는 강제적이고 폐쇄적인 계약(Restrictive Contracts) 을 통해 신규 진입자나 타 결제망 사용을 실질적으로 차단함
- 이러한 독점 행위에 American Express가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으나, 이미 네트워크 효과와 대형 금융기관의 지원이 탄탄히 구축된 뒤였음
-
네트워크 효과에 의해 카드망에 합류하는 은행과 가맹점이 늘수록 Visa와 Mastercard의 생태계가 더욱 강해짐
-
미국 내 직불카드 거래의 60%는 Visa, 25%는 Mastercard가 처리하며, 수익은 거래 당 일정 비율의 수수료에서 발생함
비즈니스 모델과 경쟁 우위
-
Visa와 Mastercard는 자체적으로 카드를 발급하거나 금리를 정하지 않고, 은행, 가맹점, 소비자를 연결하는 결제 네트워크 제공 업체임
- 수익 구조는 네트워크 내 전자 결제 건당 수수료 및 금융기관에 대한 서비스에서 창출됨
-
철도의 디지털 버전처럼, 이들의 네트워크 없이는 대규모 결제가 어렵다는 점에서 진입장벽이 매우 높음
-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용자(은행/가맹점/소비자)가 늘어나면 그 가치도 함께 상승하는 네트워크 효과 덕분에 선점 이후 신규 진입이 매우 힘듦
- 대형 은행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광범위한 유통망, 거래량 증가에 따른 높은 확장성(Scalability) 등이 글로벌 듀오폴리를 견고히 함
규제 및 시장 도전 과제
- 1970년대~1980년대부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듀오폴리 해체를 시도했으나 실패함
- 최근 Amazon이 영국에서 Visa 신용카드 결제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대형 리테일러가 수수료 인하 요구로 압박을 가하고 있음
- Visa, Mastercard가 수수료를 소매업체마다 내리면 대형 은행(예: JPMorgan Chase, Bank of America) 등 주요 고객과의 관계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음
국가 주도의 결제 네트워크와 글로벌 도전
- 인도 정부가 RuPay라는 결제 네트워크를 육성해, 신속하게 인도 내 직불카드 발급량 1위로 성장시킴
- MasterCard, Visa는 인도 정부가 RuPay만 우대한다며 미국 정부에 공식 항의함
- 국가 주도의 결제망은 RuPay 외에도 일본(JCB), 러시아(Alpha card), 브라질(Aurora) 등에서 등장 중임
-
Visa, Mastercard는 거래 금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청구하는 반면, RuPay는 고정 소액 수수료 체계를 적용해 경쟁력을 높임
- 국영 결제네트워크가 확대되면 사업자들이 수수료 절감을 위해 신규 네트워크로 이동할 가능성이 커짐
핀테크 및 신규 결제 혁신의 부상
-
PayPal, Block(Square로 잘 알려짐), Apple Pay와 같은 디지털 지갑이 대중화되면서, 기존 카드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는 직접 송금 생태계가 빠르게 성장함
- 현재는 소비자가 디지털 지갑에 신용·직불카드를 연동하는 방식이 보편적이지만, 구조 변화가 충분히 발생할 수 있음
- 중국은 이미 Alipay, WeChat Pay를 통해 은행/카드사 네트워크를 일부 우회하는 결제 생태계를 구현함
- Klarna, Affirm 등 Buy-Now-Pay-Later 업체의 성장으로 소비자 할부 결제가 확산되며 신용카드 자체에 대한 위협도 증가함
결론 및 전망
-
Visa와 Mastercard의 결제 처리 지배력은 "역사적 맥락, 전략적 사업 모델, 기술 혁신, 규제 개입"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임
- 미래의 결제 시장은 신기술 도입, 규제 변화, 시장 역학의 진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전망임
-
규제 당국의 향후 대응과 신규 경쟁자, 기술 혁신의 추이에 따라 결제 시장의 구조가 달라질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