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독화된 TikTok VM을 리버스 엔지니어링하기

1 week ago 2

  • TikTok가상 머신(VM) 을 사용하여 보안 및 난독화 계층을 강화함
  • 이 프로젝트는 이 웹 기반 가상머신(VM)을 리버스 엔지니어링하여 보안 우회 및 요청 서명 생성 방식을 분석함
  • 핵심 대상은 webmssdk.js로, 이는 X-Bogus 및 _signature 생성에 관여하는 VM 코드를 포함함
  • 프로젝트는 자바스크립트 난독화를 해제하고, TikTok VM의 바이트코드를 분석 및 디컴파일하여 의미 있는 함수 수준으로 복원
  • 이를 통해 인증이 필요한 요청(예: 댓글 작성) 시 필요한 _signature 생성까지 가능해짐
  • VM은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루프, 예외 처리, 범위 관리 등 고급 바이트코드 구조를 갖춤

TikTok VM 리버스 엔지니어링 프로젝트 개요

  • TikTok은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난독화된 가상머신(VM)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요청 서명 생성, 데이터 보호, 보안 우회 방지를 수행함
  • 이 프로젝트는 webmssdk.js 파일의 난독화 해제 및 디컴파일을 통해 서명 알고리즘(X-Bogus, _signature) 복원을 목표로 함

핵심 기능 및 구조 분석

난독화 해제

  • TikTok은 문자열을 배열과 브래킷 표기법으로 인덱싱하여 난독화함

    r[Gb[301]](Gb[57], e)
  • Gb 배열의 복호화는 고정된 문자열 테이블을 사용하여 치환 처리됨

  • 해당 패턴을 모두 디코딩한 후, 읽기 쉬운 점 표기법(dot notation) 으로 변환

함수 호출 난독화 제거

  • 함수들이 배열 Ab에 저장되어 인덱스로 호출됨

    Ab[31](args) → Ab31(args)
  • AST 파서를 활용하여 이를 개별 함수로 분리하고 이름 지정 후 호출 방식도 수정함

바이트코드 복호화

  • 바이트코드는 base64 + gzip + leb128 + XOR 암호화로 복잡하게 구성됨

    r = XOR 키 계산 압축 해제 및 leb128 디코딩으로 명령어 세트 재구성
  • 각 함수는 바이트코드 기반으로 구성되며, 디컴파일 과정을 통해 함수 구조 복원

TikTok VM 특징

  • 중첩 함수, 스코프 관리, 예외 처리, 조건 분기 등 일반적인 VM보다 고도화됨
  • 각 명령어는 switch가 아닌 if-else 구조로 위장되어 있음 → 이를 switch case 형태로 복원

디컴파일 및 디버깅

  • 각 바이트코드 함수는 일반 JS 함수 수준으로 디컴파일되어 VMxxx.js 형태로 저장됨
  • 예: VM223랜덤 문자 생성기
  • 디버깅은 Chrome의 Tampermonkey + CSP 우회 확장을 사용하여 원본 JS를 디컴파일 파일로 대체하며 수행

서명(Signing) 분석

요청 헤더 구조

  • 서버 요청 시 3개의 추가 헤더가 포함됨
    • msToken : 서버에서 발급됨, 매 요청마다 재생성됨
    • X-Bogus : webmssdk.js에서 요청 기반으로 생성됨
    • _signature : 인증이 필요한 요청에서 사용됨, webmssdk.js 생성
  • 일반적인 사용자 조회 요청은 X-Bogus만 필요
  • 댓글 작성 같은 인증 요청은 _signature도 필요

VM 함수 흐름

  • VM86: 전체 서명 생성의 진입점
  • VM113: X-Bogus 생성
  • VM189: _signature 생성
  • signer.js로 이 흐름을 재현하여 URL 서명 가능

부가 보호 메커니즘

  • 마우스 추적: VM120
  • 환경 체크: VM265
  • 그러나 이는 모두 클라이언트 측 보호이며 서버 통신 없음 → 서명 생성에는 무시 가능

주의 사항 및 유지보수

  • TikTok VM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됨 → 구조 변경 시 새로운 디컴파일 필요
  • 이 프로젝트는 주로 보안 분석, 봇 방지 기술 연구, 교육 목적에 적합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