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공학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반딧불을 흉내내는 회로를 만들며 기초를 익히는 이야기임
-
Astable Multivibrator와 같은 최소 부품의 회로를 통해 LED 깜박임을 구현하는 방법을 탐구함
- 밤에만 동작하고 깜박임 속도가 느린 특성을 위해 LDR과 가변저항 등 다양한 부품 사용 경험을 쌓음
-
실패와 고장, 그리고 직접 실험을 통해 얻은 깨달음을 생생히 공유함
- 새로운 것에 도전하며 얻는 몰입감과 즐거움의 의의에 대해 다시금 인식함
개요
전자공학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상태에서, 사라진 반딧불을 그리워했던 필자가 직접 반딧불을 흉내내는 조명을 만들어보기로 결심하며 시작한 여정임. 이 글은 성공과 실수, 시행착오를 솔직하게 기록한 실제 체험담임. 목표는 기초 전자공학 학습임과 동시에 스스로 동작하는 “반딧불”을 만드는 것이었음.
초기 시도와 회로 구성
-
Astable Multivibrator라는 회로가 LED를 자동으로 켜고 끄게 해준다는 사실을 알게 됨
- 전압과 전류의 차이조차 몰랐던 상태에서, 저항, 커패시터, 트랜지스터 등 각 부품의 기본 원리를 하나씩 익혀감
- AI 챗봇과 유튜브 등에서 최소한의 이론 지식을 얻고, 부품 상점에서 직접 부품을 구입하여 첫 회로를 조립함
- 놀랍게도, 첫 시도에서 LED가 정상적으로 깜빡이는 모습 확인
개선 및 고도화 과정
- 피드백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
- 24시간 내내 LED가 깜빡임
- 깜빡임 속도가 실제 반딧불보다 너무 빠름
- 밤에만 동작하게 하기 위해 LDR(Light Dependent Resistor) 의 개념을 도입
- LDR을 회로에 연결하여 어두울 때만 LED가 켜지도록 성공
- 추가 저항을 직렬로 삽입하여 빛에 대한 민감도까지 조절 가능함을 발견
- 깜빡임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 Potentiometer(가변저항) 를 사용
- 손쉽게 저항값을 조절하며 LED 깜빡임 주기를 1~5초로 조정
- 커패시터 값도 실험적으로 변경하여 최적화 진행
- 실험 과정의 반복 효율성을 위해, 직접 Astable Delay 시뮬레이터를 웹으로 개발하고 활용
전력 관리 및 검증
- 회로의 전력 소모를 멀티미터로 실제 측정
- 저용량 커패시터와 고저항 조합이 배터리 수명에 유리함을 확인
- 직접 개발한 Battery Life Calculator로 예상 배터리 수명이 약 8개월임을 계산
시행착오와 해결 과정
-
문제(Incident) #1: 점퍼와이어 문제
- 갑자기 회로가 동작하지 않아 부품을 하나씩 점검, 점퍼와이어 접촉 불량 및 고저항 문제로 확인
- 이후에는 “hookup wire”로 교체하여 신뢰도 확보
-
문제(Incident) #2: 시뮬레이터 사용 실패
- tinkercad.com 및 falstad.com 등에서 실제 회로 시뮬레이션 시도했으나 복잡한 회로에서는 작동하지 않음을 경험
- 일부 온라인 시뮬레이터가 복잡한 아날로그 회로에 미완전함을 인지
-
문제(Incident) #3: 납땜 연기
- 납땜 과정 중 발생하는 연기가 호흡에 영향을 줌을 실감
- 중고 CPU의 쿨러 팬과 12V 어댑터를 활용, 임시 연기 흡입기(추출기)로 대체
-
문제(Incident) #4: 부품 재활용
- 야간에 추가 커패시터 필요 발생, 버려진 전원회로판에서 직접 부품을 추출하여 재사용 경험
-
문제(Incident) #5: 실제 반딧불 테스트
- 완성된 회로를 어두운 방에서 관찰하며, 실제 반딧불을 흉내내는 데 성공
하드웨어 완성 및 다양한 형태 제작
- 회로 마감 및 설치를 위해 핫글루, 저가 3D 펜 등을 활용하여 동작이 안정적인 스탠드 및 하우징 제작
- 브레드보드, 데드버그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총 5개의 “반딧불” 제작 및 야외 설치
- 밤에 여러 개의 불빛이 어둠 속에서 깜빡이는 모습을 보고 깊은 만족감과 뿌듯함을 느낌
회고와 느낀점
- 이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진정한 몰입감과 성장의 즐거움을 다시 한 번 체험
- 예전 프로그래밍 언어 입문 때의 열정과 유사한 설렘을 느꼈음
- 앞으로는 더욱 오래, 똑똑하게 빛나는 반딧불을 만들고 싶다는 의욕이 생김
- 최종적으로, 배우고 만들며 부딪히는 과정 자체가 가장 의미 있음을 실감
마무리
- 전자공학을 실전 프로젝트로 시작한 경험은, 실패와 시행착오 모두 소중한 배움의 일부임을 일깨워줌
- 반딧불 회로는 작동, 실험, 창의적 개선 등 엔지니어링 마인드셋을 성장시키는 좋은 입문 프로젝트임
- 이 여정은 아직 계속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