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오는 11월 말까지 약 3개월간 올해 정보보호 공시 내용을 검증한다.
대상은 올해 공시한 773개(의무 666, 자율 107개)사 가운데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3사 등 40개사다.
정부는 이들 기업이 공시한 2024년도 정보보호 투자 및 인력 등 항목에 대해, 회계·감리 등 전문성을 보유한 공시 검증단을 운영해 공시 내용을 종합 검토한다.
또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회가 검증단의 검증 결과와 함께 공시 내용을 최종적으로 심의해 중대한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기업에 수정을 요청할 예정이다. 요청받은 기업은 수정 요청 내용과 관련 사유서를 전자공시시스템에 기한 내 제출해야 한다.
공시 의무자 중 검증 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이 검증을 거부 또는 방해하거나 수정공시를 미이행 시 최대 1000만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및 활동에 대한 세밀한 검증을 통해 국민에게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겠다”며 “공시대상 확대, 검증 강화를 통해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SKT 침해사고를 계기로 타 통신사(KT, LGU+)와 주요 플랫폼사(네이버, 카카오, 쿠팡, 우아한형제들)에 대해 이번 주까지 긴급 현장 점검을 추진한 결과,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