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도 안 자고 늙지도 않아"…케데헌, 가상 아이돌 시대 열었다

5 hours ago 1

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진=넷플릭스 제공

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진=넷플릭스 제공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F)이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돌풍이 가상 아이돌의 시대를 열었다는 분석을 내놨다.

WSJ는 20일(현지시간) "K팝에서 가장 큰 이름은 BTS가 아니다. 넷플릭스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케데헌의 세계적 인기를 분석했다. 이 매체는 "가상의 아이돌 밴드가 인간 아이돌이 결코 이루지 못한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초현실적"이라고 전했다.

케데헌 속 '사자 보이스' 멤버 '미스터리'의 보컬을 맡은 그룹 유키스 출신 케빈 우의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약 2000만명에 달할 정도다. 케데헌이 인기를 끌기 전만 해도 청취자 수는 1만명 수준에 그쳤다.

케빈 우는 WSJ를 통해 "가상의 캐릭터를 연기하다 보니 굉장히 초현실적인 느낌"이라며 "사람들은 나를 케빈 우나 K팝 아티스트로 알아보지 못한다"고 말했다.

케데헌에 나오는 노래 중 2곡은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곡 1위에 오르기도 했다. WSJ는 BTS나 블랙핑크와 같은 K팝 그룹도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라고 전했다.

K팝 연구자인 김석영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는 케데헌의 성공에 관해 팬들이 비(非)인간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앞으로 모방작들을 양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이건 K팝 기업들의 오랜 꿈"이라며 "여기엔 잠도 자지 않고 아프지도 않고 늙지도 않는 아이돌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K팝 프로듀서 겸 작곡가 베니 차는 인간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AI 가수와도 작업한 경험이 있는 그는 "진짜 아티스트들이 보여주는 취약성, 화학 작용, 예측 불가능성은 만들어낼 수 없다"고 말했다.

케빈 우는 "어떤 의미에선 내 예술적 재능을 새롭게 재창조하는 것과 같다"고 했다. 그는 사자 보이스 활동이 그룹 유키스 시절이나 브로드웨이 공연, 배우로서의 활동보다 더 빛을 발하더라도 개의치 않는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