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열풍에 가려진 실존적 위협
100조 투자, 수석 신설 등 AI 열풍… 인간 생존에 미칠 영향 성찰 없어
일자리는 직종 무관 급속히 재편… ‘무엇이 교육인가’ 재정의 요구돼
AI 신격화로 인간관계 실종도 우려… ‘인간-AI 공존 생태계’로 대비해야
이 모두는 AI가 만들어낼 미래에 대한 장밋빛 전망을 그 배경에 깔고 있다.
AI의 중요성에 대한 국가적 자각과 관심은 환영할 만하다. 다만 이 거대한 AI 열풍 속에서 인간의 삶과 직결된 근본적인 질문은 묻혀 버리고 있는 듯해 우려도 든다. 인공신경망 기술 발전의 공로로 2024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의 AI 기술 발전 속도에 대한 경고나 ‘사피엔스’ 저자인 유발 하라리 전 이스라엘 히브리대 교수가 신간 ‘넥서스’에서 제기한 AI의 파괴적인 역할에 대한 우려가 무시되고 있는 것이다. AI를 어떻게 도입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매몰돼 있을 뿐 AI가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 특히 ‘인간의 생존’에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인지에 대한 성찰과 경각심이 턱없이 부족하다.
지금껏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지금, ‘빛의 속도’로 발전하는 AI 기술의 조용한 위협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AI를 교육에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의 역량은 크게 달라질 것이다. 학생들이 AI의 답변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한다면, 스스로 사고하고 탐구하는 능력을 잃을 위험이 있다. 과제나 시험에서의 문제 해결을 AI에 맡기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학생들이 성인이 됐을 때 독립적 사고를 얼마나 할 수 있겠는가.
셋째, AI를 신격화하는 경향은 인류의 실존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AI의 놀라운 능력은 과도한 신뢰로 이어지고, AI에 과의존하게 되면 비판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잃을 수 있다. AI가 생성하는 허위 정보나 편향된 사고에 쉽게 설득될 위험도 있다. 더욱이 AI가 10명, 100명의 전문가 역할을 해낸다면 인간관계의 필요성 자체를 덜 느끼게 될 것이다.
이미 사람들은 AI와 대화하며 마치 인간과 소통하듯 감정적 애착을 형성하고 있다. 외로움을 달래는 상담사로, 연인이나 친구로 의존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AI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인간관계의 결속력을 약화시키면 이는 소통의 부재로 민주주의의 근간까지 흔들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AI가 나쁜 의도를 품어서가 아니라 인류 스스로 파멸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인간과 AI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인간-AI 공존 생태계’를 지향해야 한다. 기술의 진보를 인류 번영의 기회로 삼되, 발생할 수 있는 인지·사회적 위험을 사전에 예측해 대비책을 마련해야 AI도 살아남는다. 안전하고 윤리적이며, 우리 문화와 가치를 반영하는 신뢰할 수 있는 AI로 발전시켜야 진정한 AI 강국의 길로 가는 것이다.
맹성현 태재대 부총장·KAIST 명예교수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