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윌 스미스 콘서트 영상이 가짜 팬과 가짜 팻말이 등장하는 AI 합성물로 오해를 받음
- 실제로 영상 속 관중은 진짜 공연장 관중의 실사 사진임이 확인됨
- 영상 제작 과정에서 이미지-투-비디오 생성 AI와 YouTube Shorts의 기계 학습 후처리가 관중 이미지를 왜곡함
- Instagram 등 다른 플랫폼의 업로드본과 달리, YouTube Shorts 영상은 불분명하고 왜곡된 인상을 줌
- 결과적으로, 진짜 관중이지만 영상은 두 차례 인공지능 기술로 변형됨
윌 스미스 콘서트 관중 논란: AI와 진짜 관중의 경계
최근 윌 스미스 콘서트 영상을 두고, 네티즌들과 여러 언론에서 AI를 이용해 가짜 관중과 팻말을 만들었다는 의혹이 쏟아짐. 영상에는 이상한 얼굴과 손가락, 읽을 수 없는 팻말, 부자연스러운 이미지 등의 특징이 있음
영상 속 모습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이질적이고 인공적인 인상이 더욱 두드러짐
실제 관중과 실제 팻말
이 영상 주요 장면은 프랑스 오랑주의 Théâtre Antique d’Orange에서 열린 Positiv Festival에서 촬영된 것으로 확인됨. 또, 스위스의 Gurtenfestival과 Paléo Festival, 벨기에 Ronquieres Festival 등 여러 유럽 공연 장면이 섞여 있음
Paléo Festival의 공식 사진 슬라이드쇼에서 해당 관중이 실제로 존재하고, 영상의 팬 팻말도 실제로는 “From West Philly to West Swizzy”라고 쓰여 있음을 확인 가능함. (Swizzy는 Switzerland의 약칭)
특히, 'You Can Make It’ helped me survive cancer. THX Will.'라는 팻말을 든 커플도 실제 인물로, 윌 스미스의 인스타그램 슬라이드쇼 및 영상에서 동일 인물이 명확히 확인됨
AI 기술 개입의 2단계
- 영상 속 팬이 AI로 만들어진 가짜 팬이 아니라, 실제 공연장 관중임
- 하지만 영상은 두 단계의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변형됨
-
윌 스미스 팀이 공식 투어 사진을 활용해 이미지-투-비디오 생성 AI(예: Runway, Veo 3) 등으로 짧은 애니메이션 클립을 제작함
- 이 결과물을 YouTube Shorts에 업로드하면, YouTube의 기계학습 기반 후처리가 자동 적용되어, 영상이 더욱 부자연스럽게 변형됨
YouTube Shorts와 타 플랫폼의 차이
- 동일한 영상이 Instagram, Facebook에도 업로드되었으나, YouTube Shorts 영상에서만 특별히 모호하고 일그러진 디테일이 두드러짐
- YouTube는 최근 단기간 YouTube Shorts에 대해 ‘비디오 선명화’ 실험을 조용히 실시함. 기계학습 기반의 영상 선명화 및 노이즈 제거 기술 적용이 원인임
- 공식적으로 생성형 AI(GenAI) 도입은 부인하였으나, “이미지 향상 기술”은 모호하며, 실제로는 전통적 기계학습 기반 처리임
AI 생성 영상 제작 방식
- 윌 스미스 팀은 완전한 가짜 관중 영상을 생성한 것이 아니라, 투어 포토그래퍼가 촬영한 실제 사진을 AI 모델(예: Runway, Veo 3) 로 짧은 애니메이션 클립으로 변환함
- 실제 Paléo, Ronquieres 등의 페스티벌 사진 예시를 원본과 AI 변환 영상으로 비교 가능함
- 같은 관중 사진을 바탕으로 매우 유사한 구도 및 인상임을 확인 가능함
결론
- 대부분의 YouTube, Reddit, X 이용자가 “가짜 팬들을 생성 AI로 만든 영상”이라 믿고 있음
- 실제로는 진짜 관중이 등장했으나, 윌 스미스 팀의 이미지-투-비디오 변환과 YouTube의 후처리를 거쳐 인공적인 모습이 극대화됨
- 이미지-투-비디오 모델로 공연장 사진에 짧은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는 것과, 완전히 허구의 군중을 생성하는 것의 윤리적 구분 필요성 제기됨
- 결론적으로, 실제 공연이 AI 도구에 의해 ‘덜 진짜처럼’ 보이는 현상이 이번 사례에서 드러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