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책’이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건 2010년대 들어서부터다. 시작은 등록금이었다. 2000년대 당시 대학 등록금이 가파르게 오르며 청년층의 분노가 고조됐다. 이를 달래기 위해 ‘반값 등록금’과 같은 공약이 등장했다. 차제에 논의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20~30대가 인구수에 비해 지나치게 적다는 게 요지였다. 2013년 서울을 필두로 지방자치단체마다 청년정책네트워크 등의 참여 기구들이 설립됐다. 덕분에 청년들이 직접 제안하는 정책들이 행정에 반영될 수 있었다.
Related
[유효상 칼럼] 왜 교황을 뽑는데 악마의 대변인이 필요할까
2 hours ago
0
[팔면봉] 국힘 의원들, 의총서 “김문수, 빨리 한덕수와 단일화하라.” 외
7 hours ago
1
[사설] 재판 미루라며 탄핵 협박하는 민주당, 사법부도 통제하나
7 hours ago
0
[사설] 후보 주변은 단일화 신경전, 탈락자들은 외면, 열세 여권의 풍경
7 hours ago
0
[사설] 국정 그늘 챙기라는 ‘대통령 특활비’, 여사들 특별활동에 쓰였나
8 hours ago
0
[김대중 칼럼] ‘후보 단일화’보다 ‘보수 단일화’가 중요하다
8 hours ago
0
[특파원 리포트] 대만 공기업의 탈원전 반대 시위
8 hours ago
0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580] 미켈란젤로의 원형 그림
8 hours ago
1
Trending
Popular
7 Proven Tips to Ace the SAP E_BW4HANA214 Certification
3 weeks ago
15
SAP Business One Pricing & Overview
2 weeks ago
14
프로야구 LG, 키움 대파하고 개막 후 12경기서 11승 '신바람'(종합)
3 weeks ago
13
[기고]''K방산''의 미래, 과감한 투자에 달렸다
4 weeks ago
13
© Clint IT 2025. All rights are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