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선수권 5회 연속 메달 수확한 한국 수영대표팀 귀국

5 hours ago 1

남자 자유형 400m 김우민 "꾸준히 큰 대회 입상에 뿌듯함 느껴"

황선우 "올림픽 이후 침체 걱정…기록에 만족해 80점은 되는 대회"

이미지 확대 귀국한 한국 수영 대표팀

귀국한 한국 수영 대표팀

[촬영 이대호]

(영종도=연합뉴스) 이대호 기자 = 싱가포르 2025 세계수영연맹(World Aquatics)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했던 한국 수영대표팀이 대회를 마치고 4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앞서 일정을 먼저 마친 다이빙과 하이다이빙, 오픈워터스위밍 선수단은 이미 귀국했고 마지막까지 경기를 치른 경영 대표팀이 이날 돌아왔다.

한국 수영은 2019 광주 대회부터 이어 온 세계선수권대회 메달 행진을 5개 대회로 늘렸다.

2011 상하이 대회 박태환(남자 자유형 400m 금메달) 이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메달을 얻지 못했던 한국 수영은 광주 대회에서 동메달 1개(다이빙 여자 스프링보드 1m 김수지)를 획득했다.

이후 2022 부다페스트 대회 은메달 1개(남자 자유형 200m 황선우), 2023 후쿠오카 대회 동메달 1개(남자 자유형 200m 황선우)에 이어 지난해 도하 대회는 금메달 2개(남자 자유형 200m 황선우, 남자 자유형 400m 김우민)와 은메달 1개(남자 계영 800m), 동메달 2개(다이빙 여자 3m 스프링보드 김수지, 혼성 싱크로 3m 스프링보드 김수지·이재경)라는 역대 최고 성과를 냈다.

이번 대회에서도 남자 자유형 400m의 김우민(강원도청)과 남자 자유형 200m 황선우(강원도청), 남자 계영 800m까지 3개 종목에서 메달 수확을 기대했다.

그러나 황선우는 아쉽게 4위로 눈앞에서 메달을 놓쳤고, 남자 계영 800m 역시 결승에서 5위를 해 시상대에 올라간 건 남자 자유형 400m의 김우민이 유일했다.

김우민은 귀국 인터뷰에서 "이렇게 큰 대회에서 꾸준히 입상하는 것에 뿌듯함을 느낀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성적으로 높은 자리에 오래 있는 선수가 되고 싶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이번 싱가포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동메달을 딴 김우민

이번 싱가포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동메달을 딴 김우민

[촬영 이대호]

이어 "항상 세계선수권대회 경영 첫 경기가 자유형 400m다. 잘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는데, 이렇게 메달을 따서 다행이다. 팀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에 만족한다"고 덧붙였다.

김우민은 세계 최강자 루카스 메르텐스(독일), 새뮤얼 쇼트(호주)와 대등하게 겨루며 '빅3'에 들어간다는 걸 확실히 입증했다.

우승자 메르텐스와 은메달리스트 쇼트에 대해 김우민은 "두 선수와 최대한 안 떨어지고자 했다. 300m 지나니까 조금씩 잡히고, 마지막까지 조금 더 쥐어짜서 수영했다"고 했다.

또한 "작년 세계선수권대회까지는 초반에 앞서가는 수영을 했고, 이제는 후반에 힘을 낸다. 두 레이스를 합친다면 조금 더 경쟁력 있는 선수가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남자 자유형 200m 4위로 메달을 놓친 황선우는 "눈에 보이는 결과물 메달은 없지만, 그래도 기록이나 이런 것들은 나쁘지 않았다. 100점은 아니라도 80점은 되는 대회"라고 했다.

2024 파리 올림픽 자유형 200m 결승에도 올라가지 못했던 황선우는 이번 대회에서는 자신이 보유한 한국 기록(1분44초40)에 근접한 1분44초72를 찍었다.

황선우는 "파리 올림픽 이후 침체하지 않을까 우려했는데, 잘 올라왔다. 저도 안도감이 들고, 충분히 앞으로 더 나아갈 수 있다는 자신감도 든다. 이제 좋은 마음으로 아시안게임을 준비할 것"이라고 했다.

이미지 확대 싱가포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성과를 확인한 황선우

싱가포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성과를 확인한 황선우

[촬영 이대호]

이번 대회에서 한국 수영은 계영 기대주 김영범(강원도청)이 가능성을 보여줬고, 여자 배영의 미래인 15세 김승원(구성중)이 배영 50m와 100m 예선을 통과하는 등 성과를 냈다.

대회를 앞두고 계영 800m 세계 신기록에 도전하겠다고 당차게 말했던 김영범은 "비록 한국 기록도 못 세웠지만, 여전히 목표는 유효하다. 저희 4명이 잘하면 얼마든지 도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에 대해서는 "자유형 100m와 접영 100m를 못 보여드린 것 같아서 아쉬움이 크다. 아시안게임은 잘 준비해서 좋은 성적을 내겠다"고 약속했다.

지유찬(대구광역시청)은 남자 자유형 50m에서 한국 선수로는 사상 최초로 세계선수권 결승에 진출한 것과 동시에 아시아 신기록(21초66)을 수립하는 기염을 토했다.

여기에 여자 자유형 200m 조현주(경북도청·1분58초10)는 6년 5개월 묵은 한국 기록을 갈아치웠고, 남자 배영 200m 이주호(서귀포시청·1분55초70)는 자기가 보유했던 한국 기록을 0.35초 단축했다.

지유찬은 "좋은 성적을 보여드려서 기쁘고 뜻깊은 대회였다"며 "내년 아시안게임에서는 자유형 50m 금메달을 지키고 싶다"고 말했다.

귀국한 경영 대표팀은 해산해 열흘가량 휴식한 뒤 이달 중순 다시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에 모여 내년 아시안게임 준비에 들어갈 참이다.

4b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8월04일 17시11분 송고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