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세 노르웨이인이 미국 입국 과정에서 JD Vance 밈으로 인해 입국이 거부됨
- 미 이민 당국의 휴대폰 조사 및 지나친 신상 파악 요구로 인권 침해 논란 야기됨
- 단순한 사진과 농담성 이미지로 인해 심문 및 압수, 신체 수색 등 강도 높은 조치 경험함
- 이번 사건은 미국 입국 규정의 엄격성과 국경 당국의 권한 문제를 조명함
- 노르웨이 외교부는 규정 숙지와 입국 책임이 개인에게 있다고 강조함
사건 개요
- 21세 노르웨이 관광객 Mads Mikkelsen이 미국 뉴저지 Newark 공항 도착 직후, 국경 통제대에 의해 따로 불려가 입국 거부 및 구금됨
- 여행 목적은 뉴욕과 오스틴, 텍사스에 있는 친구 방문이었음
- 그는 미국 이민 당국에서 권한 남용과 강압적 대우를 경험했다고 주장함
조사 및 사건 경과
- Mikkelsen은 공항에서 신발, 핸드폰, 백팩을 압수당하고, 여러 명의 무장 경찰 앞에서 격리 조사실로 이동함
- 이민 당국은 여행 목적뿐만 아니라 여러 개인적인 질문(마약 밀수, 테러 계획, 극우주의 관련)도 추가로 물었음
- 미국에서 만날 모든 사람들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직업까지 요구받음
- 심한 피로와 스트레스를 겪으며 이미 신체적·정신적으로 지친 상태였음
이미지 조사 및 입국 거부 사유
- 공무원들은 그의 휴대폰 비밀번호 제출을 요구하고, 거부 시 최대 5,000달러 혹은 5년 징역형을 경고함
- 비밀번호 제출 후, 당국은 두 장의 이미지(밈 형태의 대머리 JD Vance 사진과 Mads가 만든 나무 파이프를 든 사진)에 문제를 제기하며 입국을 최종 거부함
- 해당 밈은 소셜 미디어에서 널리 공유된 이미지였으며, 이 두 사진 모두 챗 앱에서 자동 저장된 것임을 설명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음
심신 및 신체적 압박
- 당국은 그의 해명을 무시하고, 신체 수색, 혈액 샘플 채취, 얼굴 스캔, 지문 채취 등 강도 높은 신원 조사에 나섬
- 그는 강압적 신체수색, 벽에 밀침, 극심한 압박 등으로 정신적 충격과 공황 증상을 경험함
- 5시간 더 구금된 후, 음식과 음수도 제공받지 못한 상태로 즉시 오슬로행 비행기편으로 추방됨
제도적·법적 배경 및 외교부 개선 조치
- 미국 국경 당국은 Trump 행정부의 복귀 이후 개인 휴대폰 사전 조사 권한이 강화된 상황임
- 올해 3월, 프랑스 과학자도 Trump 비판 관련 메시지로 입국 거부 사례가 보고됨
- 노르웨이 외교부 대변인 Mathias Rongved는 미국 입국 규정이 자주 변동되며, "입국 심사 최종 권한은 미국 이민 당국에 있고, 노르웨이 당국이 개입할 수 없음"을 강조함
- 일반 여행객 책임 하에 유효한 서류와 최신 입국 규정 숙지가 필수적임을 안내함
결론 및 시사점
- 이번 사례는 디지털 사생활이 국가간 이동 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건임
- 미국 국경 당국의 입국 심사 강화, 스마트폰 검사 및 관련 소지 이미지까지 입국 자격 심사 요소로 반영됨
- 북유럽 국가 포함, 해외 여행객들은 미국 입국 규정과 현지 정책, 디지털 기기 점검 가능성에 각별한 주의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