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에도 지갑 닫는 프랑스인들
바캉스 기간 ‘텅 빈 파리’ 옛말… 시민 21% “긴 휴가 갈 여유 없어”
파리市, 무료 센강 수영장 등 운영… 숙박료 아끼려는 주택 교환 성행
하지만 이 같은 프랑스의 여름휴가 문화가 최근 달라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매년 살인적인 물가 상승이 계속되면서 휴가지로 떠나지 않고 파리에 머무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돈을 아끼며 휴가를 보내려는 이른바 ‘도심형 휴양객’이 늘고 있는 셈이다.
● 휴가지로 떠나지 않는 파리지앵들40대 회사원이며 가장인 클레어 아네 씨는 코로나19가 극심한 2021년을 제외하곤 거의 매년 남프랑스 엑상프로방스 지역으로 여름휴가를 떠났다. 하지만 올해는 휴가 내내 센강 수영장을 찾고 있다. 두 딸과 함께 센강 수영장을 찾은 아네 씨는 “떠나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같은데, 휴가지 물가가 비싸도 너무 비싸다”며 “처음엔 센강 수질이 미덥지 않았지만 한 번 이용해 보니 피부 트러블도 없고 나쁘지 않아 대리만족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프랑스 시민 10명 중 2명은 일주일 이상의 휴가를 떠날 여유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프랑스 통계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프랑스인 21%가 ‘일주일가량의 휴가를 떠날 여유가 없다’고 답했다. 휴가를 포기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건 숙박, 교통, 식비 등 서비스 분야의 물가 상승 때문이다.
6월 유럽연합(EU) 국가들의 호텔, 레스토랑 등 관광 관련 물가상승률은 전년 같은 달 대비 4.1%다. 전체 물가상승률(2.5%)보다 높은 수준이다. MKG와 AirDNA 등 프랑스 컨설팅 회사에 따르면 프랑스 호텔 가격은 2019년 이후 약 26% 상승했고, 가성비 여행객들이 선호하는 에어비앤비 평균 가격도 같은 기간 약 39% 올랐다. 그러다 보니 과거에는 바캉스를 위해 산다는 평가를 받았던 프랑스인들도 휴가철 ‘지갑 닫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 휴가 대체할 가족 체험 프로그램 인기실제로 도심형 휴양객이 늘면서 파리 3곳에 마련된 센강 수영장에는 지난달 5일 개장 이후 한 달 동안 약 8만 명이 방문했다. 파리시가 당초 예상했던 방문객을 넘어선 수치다.
이에 시 당국은 센강 수영장 관리 감독도 강화하고 있다. 가장 먼저 지난해 파리 올림픽 당시 ‘똥물’ 논란이 일었던 수질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매일 수질 검사를 하고 정밀 분석한다. 수영장 주변에 보트가 운행할 경우 수질이 악화될 수 있어 배 운행을 제한하는 곳도 있다. 파리시가 센강 수질 관리를 위해 총 14억 유로(약 2조2600억 원)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센강 수영장 관리 담당자인 야니크 씨는 “휴가지로 못 떠나거나, 직장 때문에 파리에 머무는 사람이 늘면서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있다”며 “특히 수질 검사에서 조금의 이상이라도 나오면 임시 폐장하고 관리에 돌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자가 방문한 베르시 지역 센강 수영장에는 약 5cm 크기의 물고기가 여러 마리 보일 정도로 수질 상태가 양호했다. 약 한 시간 동안 수영장에 몸을 담갔지만 다음 날까지 피부에 별 이상이 없었다.
파리시는 수영장 주변에 안전요원 10여 명을 배치하는 등 안전 관리에 신경 쓰고 있다. 베르시 지역 센강 수영장의 수심은 4∼5m가량 된다. 물에 뜨는 것을 도와주는 노란색 안전 부표를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한다. 또 10세 이하 어린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수영이 금지된다.
파리시는 수영장 외에도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해 도심형 휴가객을 맞고 있다.
체험형 전시들도 때 아닌 호황을 맞고 있다.
유포리아 전시 담당 매니저 곤잘레스 씨는 “휴가철 가족 단위 방문객이 정말 많은데, 우리 박물관의 가치와 기획이 잘 들어맞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현상”이라며 “바깥은 더운데 이곳은 시원하고, 여러 환상적 감흥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 관광업계 ‘임대료 오르고 고객 줄고’
하지만 휴가철 대목이 실종되면서 프랑스 관광업계는 울상이다. 1800개 시설이 소속된 ‘프랑스 호텔 및 레스토랑 협회’는 지난 2년 동안 임대료 에너지 임금은 인상된 반면 고객이 줄면서 이익이 대폭 줄었다고 밝혔다.
파리 15구 레스토랑에서 일하는 레이몬드 아사야 씨는 “물가가 상승하면서 방문객도 줄었지만 식전주, 커피, 디저트를 시키는 사람들이 대폭 줄었다”며 “서빙하는 사람들에게는 디저트 주문율을 높이라는 업주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광업계의 피해는 전통적인 프랑스 휴양지인 지중해 연안에 이어 브르타뉴, 페이드라루아르 등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파리 올림픽 여파로 파리로 사람들이 몰리면서 남부 휴양지가 한산했는데 올해도 비슷한 분위기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프랑스 중부 디종에서 에어비앤비를 운영하는 로메인 로랑 씨는 “대도시 사람들이 움직이지 않는 것 같다. 10년 넘게 운영했는데 지난해와 올해같이 7, 8월 빈방이 많은 해가 없었다”고 말했다.
고물가를 이겨내기 위한 다양한 선택도 주목받고 있다. 서로의 주택을 금전적 대가 없이 교환하는 플랫폼 등이 대표적이다. 회원 17만 명을 보유한 홈익스체인지는 회원 수가 최근 3년 동안 50% 더 늘었다. 파리의 지인과 2주 동안 주거지를 바꿔 생활하고 있는 리옹 출신 메뉴엘 아르노 씨는 “숙박비만 아껴도 나름 풍요롭게 휴가를 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주택 교환은 매력적인 옵션”이라고 말했다.
남프랑스 등 전통적인 휴가지가 아니라 파리로 역관광을 오는 사람도 늘고 있다. 특히 편도 2.5유로(약 4000원) 기차비로 베르사유, 디즈니랜드 등 파리 근교까지 기차로 갈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리옹에서 파리로 가족여행을 온 줄리아 씨는 “다른 지역은 거리 기반이라 대중교통비가 비싼데, 파리는 1∼2시간 거리의 근교까지 싸게 갈 수 있다”며 “리옹 등 다른 대도시보다 파리가 저렴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유근형 파리 특파원 noel@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