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aude Code를 활용해 업무, 개인 프로젝트, 심지어 텍스트 편집까지 수행한 경험담
- Cursor, Cline, Zed 등 여러 도구를 써봤지만 터미널·vim 중심 워크플로우에 자연스럽게 녹아든 것은 Claude Code뿐이었음
- 단순히 모델 성능뿐 아니라 반복 루프, 조건 처리 등 설계 방식 덕분에 적은 입력으로도 생산성이 높았음
- 다양한 실험적 프로젝트를 단기간에 구현할 수 있었고, HackerNews 댓글 랭커 플러그인과 포스터 제작 도구 등 오래 미뤄둔 아이디어들을 신속하게 완성할 수 있었음
- 파일 이름 변경 및 데이터 병합 등 비개발 업무 자동화에도 높은 효율성을 보였고, 텍스트 에디팅 경험은 유연성과 생산성 모두 향상시킴
Claude Code를 활용하여 빠른 프로젝트 구현
- 이 글에서는 Claude Code를 이용해 필자가 구현한 여러 소규모 프로젝트와 경험에 대해 상세히 소개함
- 대부분 실험적이며, 대규모 실전 코드베이스에서는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보고도 있으나, 적절한 맥락과 입력이 주어진다면 충분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 몇 달 또는 수년 동안 미뤘던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Claude Code의 도움으로 몇 분 또는 몇 시간 만에 완성할 수 있었던 점에 놀라움을 느낌
Claude Code의 주요 사용 경험
-
초기 인상과 요금제 변화
- 설치 직후 기존 GPT 구독을 취소하고 Anthropic으로 전환
- 몇 일 만에 월 $100 MAX 플랜 업그레이드, Opus 모델 사용 및 제한 해제 목적
- Claude Desktop·모바일 앱은 다소 느리고 투박하지만 터미널 도구가 워크플로우에 잘 맞아 지속 사용
-
핵심 사용 원칙
- 항상 --dangerously-skip-permissions로 실행해 완전 권한 부여
- 가능한 많은 입력 제공 → 상세 맥락과 구체적 요구가 결과 품질을 크게 향상
- 주로 텍스트 모델이지만 UI 설계 능력도 의외로 뛰어남
프로젝트 사례
-
Vibe Coding과 SmartSplit
-
Vibe Coding: 코드 직접 작성 없이 모델과 대화로 앱을 만드는 방식
- SPEC.md(약 500단어) 기반으로 SplitWise 클론 제작
-
PHP 버전: 단일 index.php, SQLite, 프레임워크 없이 900줄 코드로 완전 작동
-
JS 버전: Node.js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500MB 의존성, 기본 기능조차 동작 안 함
- 동일한 사양에서도 구현 지시의 단순화 여부가 결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침
-
자율 스타트업 빌더
- Hetzner VPS + root 권한 + 무한 루프 지시
- 자체 프롬프트 작성, 아이디어 평가 후 서버 모니터링 SaaS 제작 시도
- Nginx 설정·인증서 발급 등 풀스택 구성까지 자동화
- Anthropic 사용 정책에 걸려 자동 홍보 기능은 차단 → HUMAN_INPUT 파일로 인간 승인 절차 추가
-
실서비스 마이그레이션
- ZATech Slack 커뮤니티 부속 서비스(Sboj) Laravel/PHP + MySQL 프로젝트를 저비용 VPS로 이전
- Claude Code로 종속성·설치 가이드 자동 생성
- DB 복원, Cloudflare Turnstile 설정, 이메일 발송 서비스 전환(Brevo)까지 지원
- 수작업 대비 16~32시간 절약 예상
기타 토이 프로젝트
-
HackerNews 댓글 랭커 플러그인 개발
- HackerNews의 댓글 중, 기사와 관계없는 '노이즈' 댓글을 건너뛰고 싶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함
- 이전에도 시도했으나 중단되었고, 이번엔 Claude Code를 활용해 다시 개발 착수함
- HTML 구조와 뱃지 노출 등 구현 과정에서 몇 번의 시행착오가 있었으나, 풍부한 피드백 제공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음
- 기대 이상으로 깔끔한 UI가 생성되었으며, 설정 페이지 등 세부 기능도 충실하게 구현됨
-
댓글 랭킹 자체는 OpenAI 기반으로 동작하며, 프롬프트 최적화와 예시 추가로 성능 개선 여지가 있음
-
Poster Maker - 미니멀 Canva 대체 사이트 개발
- AI를 활용한 포스터 제작이 보편화되는 가운데, 기존 도구들은 AI 기능 부족, 복잡한 UX 등 한계가 있었음
- 이미지와 텍스트를 손쉽게 결합하여 A4 PDF를 내보내는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목표로 정함
- Claude Code는 UI 관련 지식에서 뛰어난 면모(예: 폰트 선택)를 보여줬으나, 배치 등 일부 면에서 사용자 입장 고려 부족 문제 확인됨
- 반복적인 구조 지정과 피드백을 통해 의도에 맞는 결과물을 만들 수 있었음
- PDF 내보내기는 여러 차례 시도 끝에 프리뷰와 동일한 완성도를 달성함
-
Claude Code로 행정 업무 자동화 : 은행 명세서 처리
-
은행 거래 내역 파일명 일괄 변경 등 단순한 비개발 업무도 Claude Code로 자동화 가능함을 확인함
- 정확한 파일명을 추론하여 일괄적으로 변환해주는 작업부터, 여러 엑셀 파일 합치기, 비용 카테고리 분류 등 복잡한 행정 작업까지 빠르게 소화함
- 특정 팀원 역할 정의 등 약간의 정보를 제공하면, 상세한 데이터 가공도 한 번에 가능함
- 이러한 자동화는 AI 도구와 회계와 같은 기존 직업 간의 관계 변화도 예고함
Claude Code를 텍스트 에디터로 활용
- 기존에는 vim을 주로 사용했으나, Claude Code로 마크다운, HTML, CSS, JavaScript 작성 및 레이아웃 구현 작업의 폭이 크게 넓어짐
- 작성 흐름이 매우 자유로워서, 초안과 지시문을 섞어 입력하며 Claude를 통해 실시간 교정 및 형식화, UX 생성이 가능함
- 글의 대부분은 사람이 직접 작성하지만, Claude Code의 생산성 강화 및 반복 작업 자동화 효과를 체감함
- 최신 LLM이 장문의 요약이나 구조화된 데이터 편집에는 강점을 보이나, 창의적 텍스트 생성은 여전히 프롬프트 세밀화가 필요함
- Simon Willison의 'word calculator' 비유처럼, 현재 LLM의 주효한 용도는 콘텐츠 재구성 및 편집임
결론
- Claude Code는 단순 모델 성능을 넘어 맥락 풍부한 입력 + 반복적 상호작용으로 높은 생산성을 제공
- 대규모 시스템보다는 개인 및 소규모 프로젝트, 반복적 비개발 업무 자동화에서 특유의 강점을 보임
- 여전히 사용자의 구체적인 피드백과 명확한 설계가 핵심이나, 코드 작성·설정·자동화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추고 생산성 혁신에 크게 기여함
- LLM들이 진정한 창작자인가에 대한 논의는 남아있으나, 실무적 효용성은 분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