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에서 발생한 7.7 규모의 지진을 통해 지진 단층이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장면이 CCTV에 최초로 기록됨
- 해당 영상에서 단층 이동이 직선이 아닌 곡선 경로로 드러나 기존의 지진 메커니즘 이해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함
- 연구팀은 프레임별 분석 기술을 통해 단층의 측방 이동 거리와 속도, 파동 특성까지 자세히 파악함
- 이러한 곡선형 미끄러짐 패턴이 지표면 응력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함
- 해당 연구는 미래의 지진 예측과 도시 인프라 안전성 강화에 중요한 기여를 할 전망임
CCTV 영상으로 포착된 지진 단층 이동 현상
미얀마에서의 최초 기록
- 2025년 3월 28일, 7.7 규모의 대형 지진이 미얀마를 강타함
- 우연히 설치된 CCTV 카메라가 지반이 갈라지며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순간을 촬영함
- 이 영상은 과학자들이 지진 단층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관찰한 사상 최초의 기록임
단층 이동의 곡선 경로 관찰
-
미얀마 Sagaing Fault 인근에서 촬영된 이 영상은, 단층선이 직선이 아닌 곡선 경로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줌
- Kyoto University의 지구물리학자 Jesse Kearse는 반복 시청을 통해 단층 미끄러짐 곡률이 뚜렷하다는 사실을 발견함
- 이는 기존에 암석 표면의 곡선형 스크래치를 통해 추정해온 개념이 실제로 실시간 영상에 나타난 첫 사례임
과학적 분석과 주요 연구 결과
- Kearse와 공동 연구자인 Yoshihiro Kaneko는 픽셀 교차 상관 기법으로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정밀 분석함
- 단층은 약 8.2피트(2.5미터) 옆으로 이동했으며, 약 1.3초 동안 최대 초속 10.5피트(3.2미터) 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남
- 지진은 Pulse-like(펄스형) 파열 특성을 가지며, 이는 단층선 전체에 미끄러짐이 파동처럼 빠르게 전달되는 현상임
- 연구에 따르면 단층선 이동 궤적의 곡률이 직선보다 훨씬 흔하다는 점이 시사됨
- 곡률 발생 원인으로는 지표면 근처에서의 상대적으로 낮은 응력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설명함
미래 연구 및 실용적 의미
- 이러한 실시간 단층 이동 영상은 향후 지진 동역학 연구에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음
- 곡선형 미끄러짐 패턴 분석을 통해 지진 발생 방향이나 단층 파괴 양상 예측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 연구진은 이후 물리 모델링을 통해 단층 운동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심층 연구할 예정임
사회적·기술적 파급 효과
- 이번 발견을 통해 지진학자와 지질학자들은 향후 지진 파열 예측 능력을 높일 수 있음
- 이를 기반으로 도시 인프라의 내진 설계와 생명 보호를 목표로 한 지속적인 연구 및 인프라 개선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