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rk Weiser가 1992년에 발표한 AI '코파일럿' 메타포 비판이 지금도 유효함
- Weiser는 '보조자'가 아니라 사용자 경험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인터페이스를 주장함
- 현대 항공기의 HUD(헤드업 디스플레이) 개념이 이러한 철학을 잘 보여줌
-
오토메이션이나 에이전트 UI 대신, 사용자 감각을 확장하는 HUD 스타일 UI의 가치가 여러 사례로 드러남
- 일상적 작업에는 코파일럿이 효과적이지만, 창의적/비정형 상황에서는 HUD가 인간의 능력을 더욱 강화함
1992년 Mark Weiser의 코파일럿 비판
- 1992년 Mark Weiser는 MIT Media Lab의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에 관한 행사에서 AI를 '코파일럿'으로 비유하는 관점에 비판을 제기함
- 컨텍스트 인지와 자동화 등 오늘날에도 유효한 문제들을 당시에도 논의함
- Weiser는 '코파일럿'(가상 인간처럼 조종사의 보조 역할을 하는 AI) 대신, 사용자가 정보를 자연스럽게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옹호함
- 그의 이상은 '눈에 띄지 않는 컴퓨터' 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처럼 자연스러운 연장선이 되는 환경임
HUD(헤드업 디스플레이)와 Weiser의 철학
- 현대 항공기의 HUD(HUD, Head-Up Display) 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수평선/고도 등 핵심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조종사 시야에서 자연스럽게 제공함
- HUD는 코파일럿과 달리 대화가 필요 없고, 자연스럽게 인지 능력을 확장하는 효과를 줌
- 이러한 HUD 개념은 Weiser가 제시한 사용성에 부합함
소프트웨어에서의 HUD 실현
- 스펠체크는 'AI 협력자'처럼 대화하지 않고, 오타에 빨간 밑줄을 자동으로 그어주는 방식으로 작동함
- 이처럼 즉각적이고 시각적인 정보 제공이 사용자의 새로운 감각을 만들어내는 HUD의 한 예시임
- AI를 활용한 커스텀 디버거 UI 역시 프로그램 동작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해, 사용자가 문제를 직접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해줌
- 이러한 접근법은 전통적 오토메이션이나 '가상 보조자' UI와 구분되며, 인간의 감각을 직접적으로 확장함
HUD와 코파일럿의 트레이드오프
- 저자는 HUD가 항상 코파일럿보다 낫다는 관점은 아니며,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함을 설명함
-
루틴하고 예측 가능한 작업(예: 직선 비행)에는 코파일럿 방식이 효율적임
-
비정형적이고 창의적인 문제(예: 비상착륙 시 상황 인지)에는 HUD처럼 인간의 인지를 보조하는 도구가 큰 힘을 발휘함
- AI 설계자는 '어시스턴트'에서 벗어나 HUD 등 인간 감각 확장형 UI도 반드시 고려해야 함
결론
- 미래의 AI 디자인에서는 코파일럿 방식과 HUD 방식 모두의 가치와 트레이드오프를 인식할 필요가 있음
-
평범한 자동화는 가상 보조자에게 맡기고, 더 뛰어난 결과를 원한다면 HUD처럼 인간 전문가에게 '새로운 슈퍼파워'를 제공하는 방법이 가장 강력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