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crosoft 등 주요 IT 기업이 AI 기능을 강제로 기존 소프트웨어에 통합함
-
사용자 동의 없이 비용 인상과 함께 AI 기능이 자동으로 추가되는 구조임
-
소비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AI를 위해 기꺼이 추가 비용 지불 의향자는 8%에 불과함
-
대기업들은 손실을 감추기 위해 AI를 기존 서비스에 묶어서 제공함
- 선택권이 박탈된 소비자는 AI 도입 강제 상황에서 불만족·무력감을 경험함
AI 기능 강제 도입 경험
- 몇 달 전 Microsoft Outlook에서 이메일을 보내려고 했을 때 Copilot 사용 권유 메시지를 접함
- Copilot이라는 AI 동반자를 도입했으나, 사용자는 원하지 않음
- 이메일 수신자 입장에서도 원하지 않는 AI 생성 메시지가 도달하는 불편함이 발생함
Copilot 비활성화와 추가적인 강제
- 여러 시도 끝에 Copilot 비활성화 방법을 찾았음
- 며칠 후 Microsoft Excel에서 파일을 저장하려 할 때, 인공 지능이 포함된 새로운 이용약관에 동의해야만 저장 가능함
- 그 후 모든 Microsoft 소프트웨어에 AI가 자동으로 통합되는 상황을 알게 됨
가격 인상과 선택권 박탈
-
Microsoft는 AI 기능 추가 명목으로 월 구독료를 3달러 인상함
- 사용자는 AI를 60회까지 이용할 수 있는 크레딧을 받지만, 실제로는 사용하지 않아도 비용이 청구됨
- AI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도 구독료에 포함되어 강제로 과금되는 구조임
AI 강제 도입의 비즈니스 논리
-
대중이 자발적으로 AI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현실 때문에, 필수 소프트웨어에 AI를 묶어 강제 도입하게 됨
- AI 기능이 독립 상품일 경우 수익·손실이 명확히 드러나 투자자의 불만, 주가 하락, 소비자 항의 등 위험이 동반됨
- 번들 형태로 제공하면 실질적인 AI의 수익성과 시장 반응을 숨길 수 있음
소위 '스팸 혁명'과 선택권 상실
- AI 번들과 강제 도입 현상을 스팸에 비유하여 비판
- 사용자가 AI 관련 기능(고객센터, 검색 엔진, 소프트웨어, 음악 등) 도입을 거부할 방법이 없음
-
Google 등 다른 빅테크들도 AI를 핵심 서비스에 자동 추가하는 방식을 채택 중임
소비자 의견과 시장 반응
- 소비자가 'AI 기능 탑재' 제품을 기피하는 현상 설문 조사로 확인됨
-
Wall Street Journal도 기업들에게 제품 내 AI 프로모션에 신중할 것을 권고함
- 대중은 텍스트·문서·상품 등 모든 영역에서 AI 도입을 반기지 않는 경향을 보임
빅테크의 독점적 권력
- 과거에는 고객 의견에 민감하게 대응했으나, 이제 빅테크가 독점적 영향력 행사
- 사용자의 의사나 선택권은 완전히 배제되고, 일방적 기능 추가가 지속됨
- 예시로 Meta도 Messenger 등 메시징 플랫폼에 AI 챗봇을 더욱 공격적으로 도입 예정임
AI 보이콧의 현실적 한계
- 서비스에서 AI를 완전히 배제하려면 이메일, 검색, 문서 편집, 온라인 쇼핑, 음악 등 필수 서비스 포기가 요구됨
- 이미 AI가 생활 필수품에 넓게 적용되어 있어, 실질적인 보이콧이 거의 불가능한 구조임
- 가까운 미래에는 의료, 상담, 법률 등 공공 서비스 분야도 AI 챗봇 중심으로 급속히 전환 위험이 있음
기술적 완성 이전에 이뤄진 강제 도입
- AI의 품질·신뢰성 문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문제 해결 없이 무차별적으로 도입이 가속화됨
- AI가 불완전함에도 불구하고, 대기업들은 더 빠르게 강제 주입을 시도함
규제의 필요성
- 강제적인 AI 도입에 대응하기 위해 투명성, 옵트인, 책임, 지식재산권 등 관련 법률 제정 필요성 제기
- 만약 정치권이 행동하지 않는다면, 집단 소송 또는 국민 투표(바인딩되는 경우) 등 직접 조치가 제안됨
- 미국의 AI 개발 속도론(중국 맞대응)의 논리에 대해 AI가 도달하는 미래를 '가장 피해야 할 종착지'로 인식함
결론
- AI는 대중의 동의 없이 빅테크 주도로 일상과 사회 전반에 폭넓게 확산 중임
- 사용자의 적극적 요구가 아닌 독점적 기업의 이익 추구와 시장 메커니즘 왜곡이 근본적 원인임
- 선택권 없는 AI 도입은 향후 심화될 것이며, 이로 인한 사회적 후회 가능성이 큼